논문 상세보기

침강 HNS 유출사고 및 사고 후 모니터링 방법 및 고려사항 KCI 등재

Review on the Post-spill Monitoring Method of Sunken HNS and General Considera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95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해양환경으로 유출된 침강 HNS에 대하여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사후 모니터링 수행은 다량의 오염 물질이 유출된 경우와 해 양 환경에 영구적 또는 장기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에 특히 필요하다. 침강 HNS의 유출은 해저면에 혐기성 환경을 만들거나 지형과 해류 에 따라 이동하며 퇴적물에 섞기거나 흡착되고 또는 반응하여 오염물질을 방출하기도 한다. 이는 저서생태계와 관련된 해양환경에 영향 을 줄 수 있으며, 불용성 침강 HNS는 해양 환경에 지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침강 HNS 유출 후 사후 모니터링은 사례연구를 통해 첫째, 모델링을 통한 유출물질의 영향을 예측하고, 둘째 원격탐사 등을 이용한 유출지역의 탐색 및 오염물질 유무를 확인하며, 셋째 수계 및 퇴 적물 시료의 화학적 분석과 생물학적 분석을 통하여 해양환경을 평가하는 단계로 되어 있으며, 모니터링 결과는 복원(Restoration) 또는 피 해 및 보상 평가 등의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또한 사후모니터링 조사항목 중 해양환경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항목은 그 기준 을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이 유출 사고 전과 후의 환경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Post-spill monitoring of hazardous noxious substances accidents is essential in the event of a spillage of significant quantities of pollutants and for the management of the marine environment resulting from the long-term effects of the persistent toxic substances. The accidental introduction of a sinker into the marine environment can create harmful anaerobic conditions in the benthic ecosystem and spread over the seafloor by the topography and currents. Through case studies, most post-spill monitoring includes modeling, remote sensing, and chemical analyses of the sediment and benthic organisms. The monitoring also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restoration and recovery activities and assesses damages and compens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 과
    3.1 해양환경에서의 HNS 거동 및 영향
    3.2 HNS 유출 사고 후 모니터링 필요성
    3.3 HNS 유출 사고 후 모니터링 계획 및 고려사항
    3.4 국내 해상 HNS 운송 및 사고 현황에 따른 침강 HNS우선고려 대상 물질
    3.5 침강 HNS 사고 후 모니터링 조사 항목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최기영(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선임연구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스쿨 해양과학전공 겸임교수) | Ki Young Choi (Senior Research Scientist,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Ocean Science (Oceanography), KIOST Schoo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ST))
  • 김창준(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Chang Joon Kim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Marine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김영일(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책임연구원) | Young Il Kim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East Sea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김용명(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안전환경연구본부 기술원) | Yongmyung Kim (Full-time Research Specialist, Maritime Safety and Environmental Research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
  • 이문진(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안전환경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Moonjin Lee (Principal Research Scientist, Maritime Safety and Environmental Research Division,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hips & Ocean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