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 리스트 B단조 소나타를 중심으로 KCI 등재

Expressive Transformation of the Cross Motive in Liszt’s Sonata in B Min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1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은 연구자의 박사 학위 논문 중 1장과 3장 2절을 중심으로 발췌 및 번역한 것으로, 리 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B단조 소나타에서 나타나는 십자가 모티브(cross motive)의 주제 적, 표현적 변형에 초점을 맞추고, 모티브의 변형을 통해 생성되는 내러티브적 해석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십자가 모티브는 그레고리안 성가 ≪신앙의 십자가≫(Crux Fidelis)에서 유래한 선율적 모티브로, 리스트의 작품에서는 기독교에서의 구원을 의미하거나 그의 신앙심이 표현되는 맥락에서 주로 사용된다. 리스트의 소나타에서는 다섯 개의 모토가 주제적 발전의 기초적 아이디 어를 제공하며, 그 중 네 번째 모토인 십자가 모티브는 5번에 걸쳐 등장하며 주제적 변형뿐만 아 니라 표현적 변형의 과정을 거친다. 본 논문은 음악이 진행됨에 따라 음악적 아이디어가 정서적 상태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클라인(Michael Klein)의 용어 ‘표현적 변형’(expressive transformation)과 해튼(Robert Hatten)의 ‘표현적 장르’(expressvie genre)의 개념을 연구의 출발 점으로 삼는다. 제시부의 2주제 영역에서의 십자가 모티브의 첫 등장은 화려하고 장대한 반주와 상승하는 십 자가 모티브 선율의 조합으로 인해 D장조에서 종교적인 장엄함을 드러낸다. 반면 발전부에서 제 시된 십자가 모티브는 단조성의 선율, 낮은 음역, 불협화음, 강한 다이내믹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변모하다. 이는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상태가 비극적으로 변형되었음을 보여준다. 재 현부와 코다에서 등장하는 십자가 모티브는 이전의 종교성, 장엄함, 영웅적 당당함, 승리를 다시 회복하며 기쁨과 환희에 찬 절정의 감정적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십자가 모티브의 변형은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의 내러티브로 표현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러티브 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헐리우드 영화 ≪레버넌트≫의 정서 구조와 십자가 모티브의 정서적 흐름 에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발견했고, 상호텍스트적 맥락의 적용을 통해 본 논문이 제시 하는 해석학적 분석에 대한 접근성과 흥미를 높이고자 했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cross motive in Franz Liszt’s Sonata in B Minor (1853) is transformed throughout the piece and suggests a narrative analysis resulted from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its expressive state. The cross motive is a melodic segment derived from the Gregorian chant Crux Fidelis and appears five times in Liszt’s sonata. In Liszt’s instrumental music, motto themes become a vehicle for thematic transformation,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states change over time like characters in a narrative. Michael Klein calls this change in the musical narrative “expressive transformation” (2004, 32). The first presentation of the cross motive displays majesty and glory because of the rising melody of the motive with the repeated full-chord accompaniment in D Major. However, the second and third presentations of the motive reveal a tragic expressive state due to minor keys and dissonant harmonies. The cross motive reappears in B Major in the recapitulation and coda and accomplishes the glorious triumph with an apotheosis, recovering its religiousness and magnificence. The cross motive undergoes the expressive transformations, religious-to-tragic- to-triumph, in its long narrative journey throughout the sonata. Furthermore, my narrative analysis opens a hermeneutic window on this sonata as it relates to Liszt’s religious conviction, and considers intertextuality in the sonata and a recent film, The Revenant, which expresses a similar emotional change. Intertextuality between Liszt’s sonata and the film helps us reimagine the sonata as if undergoing glorious to tragic to victorious states.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십자가 모티브의 표현적 변형을 통한 내러티브적 분석
    2.1. B단조 소나타의 다섯 개의 모토(mottos)
    2.2. 십자가 모티브의 내러티브: ‘비극과 고통에서 다시 쟁취해 낸 승리’
3.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
  • 김유미(연세대학교, 강사) | Yumi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