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산산성 내부시설로 본 백제산성 내 공간의 활용양상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pace in Baekje Mountain Fortress as Interior Facilities of Yesan Mountain Fortr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17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200원
한국성곽학회 (Korea Fortress Academy)
초록

산성은 외침을 막고, 백성을 지키는 관방유적이다. 하지만 고대산성의 축성 목적은 일정 지역에 대한 장악(확보)를 우선하였다. 일정지역에 대한 장악은 무력을 기반한 통치, 관리, 방어 등의 개념이 포함된다. 따라서 산성 내에는 전투 가능한 방벽(성벽)이 축성되고, 안에 는 군사의 생존과 해당지역 관리위한 시설(각종 건물지, 용수시설 등)이 조성된다. 그리고, 축성주체(국가)는 이 같은 시설을 구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일정 수준의 기술력과 제도를 갖추고 산성을 중심 무대로 다양한 행적(역사)을 남기었다. 따라서 산성의 실체와 그 역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오랜 조사와 고찰, 다양한 연구방법 의 적용과 검증이 필요하다. 국내 고고학에서 고분, 생활유적 등 다른 유구보다 연구 성장이 느린점은 城에 내포된 종합적이고 거대한 역사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관념에서 “산성 내 공 간활용”연구는 성벽과 성벽시설(문지, 치 등)에만 집중되던 기존연구 성향에서 벗어난 다양 한 방식의 연구 접근을 위해 시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백제 치성(縣급)으로 밝혀진 예산산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하나의 산성이지만 조사된 내부시설이 양호하고, 유구별 구조와 배치 등 공간 활용상태 파악이 가능하였다. 그리 고, 이를 토대로 유사등급(郡縣) 산성사례를 비교하여 백제 산성 내 공간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산성 내부는 A.(정상부), B.(경사 중~상단부), C.(경사 하단부)로 구분되어 필요 시설이 배치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A.정상부 공간에는 다각형건물(종교/제의), 석벽건물(대 형창고), 저장수혈, 저수조(물탱크) 등 저장시설이 밀집된다. 특히, 잔여대지(넓은 공간)를 필 수적으로 확보하여 사열(지휘)/제의(종교)/창고(물품)관리 등 공식적인 대규모 군사 활동이 가능케 하였다. B.경사 중~상단부 공간은 비탈진 경사에 협소한 평탄면을 조성하여 중소규모(6m이내) 시설을 배치하였다. 유구는 고래, 아궁이 등 난방 건물이 중심을 이룬다. 소규모로 분리된 병사 숙소/취사 및 기타 물품 제작소 등이 기능한 것으로 추정된다. C.경사 하단부 공간은 저지대로 유수처리의 집수지가 배치된다. 그리고 곡부 주변은 축 대를 시설하여 곳곳에 평탄지를 조성하고, 규모 있는 건물지를 조성한다. 정리하면, 산성 정상부 일원은 공식적인 대규모 군사활동(지휘/사열/제의/창고관리)을, 경사면 중~상부에는 병사 숙소/취사/생산 및 기타 소규모 활동을, 경사면 하부(곡부)에는 집 수지와 축대 등 배수 및 관련시설을 구비하는 등 계획적인 공간 구획과 활용이 이루어진 것 을 알 수 있다.

The mountain fortress is a relic that prevents foreign invasion and protects the people. However,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of the mountain fortress in ancient times prioritized the control of a certain area. Domination of a certain area includes concepts such as military-based governance, management, and defense. Therefore, walls are built in the mountain fortress, and facilities for the survival of soldiers and the management of the area (various building sites, water facilities, etc.) are built inside. In addition, main(countries) that build mountain fortresses should have such facilities and be supported by technology and social systems that can be operated. Therefore, acidity must be investigated and considered for a long time, and applied and verified by various research methods. In domestic archaeology, access to entities and research growth are slower than other remains such as tombs and living relics because of the comprehensive and huge historical nature implied in the fortress. In this sense, the study of "space utilization in the mountain fortress" was attempted to approach various research methods, away from the existing research tendency centered on the wal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Yesan mountain Fortress, which was found to be a local government office(class 縣) during the Baekje period. Although it is one mountain Fortress, the remaining condition of the internal facility was good, and the state of space utilization such as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facility could be identified. In addition, the use of space inside Baekje mountain Fortress was examined by comparing the cases of The mountain fortresses of similar class(郡縣).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side of the mountain fortress was divided into A(top), B(middle to top), and C(bottom of the slope), and necessary facilities were created. A. Storage facilities such as polygonal buildings(religion/sacrifice), stone wall buildings(large warehouses), storage pits, and water tanks(貯水槽) are concentrated in the space at the top. In particular, the remaining land (large space) was essentially secured to enable official large-scale military activities such as command/religion. B. Small and medium-sized(less than 6m) facilities were placed in the middle space by creating a narrow flat surface on the slope. Facilities are the mainstream of heating buildings such as ondol and furnace. It is estimated that small-scale separated soldier accommodation/cooking and other goods factories functioned. C.In the lower part of the slope, a water collection reservoir is disposed to treat water flowing to a low place. In addition, a flat land was built along with an embankment(築臺) and a building was built around it. In summary, official large-scale military activities (command/inspect/religion) were conducted at the top of the mountain fortress, and small-scale activities such as soldiers' lodging/cooking were conducted at the center of the slope. In addition, water collection and embankment(築臺) were built at the bottom of the slope to treat flowing water and build a building. In other words, planned space compartment and utilization were achieve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예산산성 내부시설 현황과 기능
    1. 내부시설 현황
    2. 내부시설 유구의 구조와 기
Ⅲ. 예산산성 내부시설 조성과 배치
    1. 내부시설의 선후관계
    2. 내부시설의 조성과 배치양상
Ⅳ. 백제산성 내 공간의 활용양상
    1. 예산산성의 내부 공간 구획
    2. 백제산성 내부시설 공간 구획 특징과 활용양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병화(백제역사문화연구원 문화재조사부장) | Choi Byung Hwa (Baekje History and Cultural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