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Forest Healing Progra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양질의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하여 전국의 치유의 숲에서 근무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를 대상으로 산림치유지도사와 관련한 일반적 현황, 보수교육, 프로그램 관련 제반여건과 현황, 융복합적 체험의 치유기기의 운영에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남자 25명 여자 68명으로 총 93명이 참여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로 근무하는 연령대는 5 · 60대가 가장 많은 72명으로 전체의 77.4%였으며, 만족요인은 숲환경, 치유, 보람 등의 순이었다. 불만족요인은 고용불안, 급여 등 처우, 관련공무원 등 주변의 인식 등이었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덕목으로는 공감능력이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하였다. 대부분(96.8%) 보수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며, 67.7%가 개별적으로 보수교육을 수강하였고 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으며, 보수교 육의 주체는 산림청이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로는 교육의 질과 비용과 시간의 지원 이라고 답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의 관점에서 참여자의 호응도가 높은 프로그램은 명상, 숲길걷기, 족욕의 순이었으며, 산림치유지도사의 정보수집경로는 유튜브 등의 매체의 이용이 가장 많았다. 치유기기관련 문항에서는 대부분의 치유의 숲에는 인바디, HRV측정기, 혈압계 등으로 거의 비슷한 기기가 비치되어 프로그램에 이용되고 있었으며, 시간부족으로 운영의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and quality of forest healing programs offered across the countr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program instructors regarding in-service training, general conditions, and devices used. The study involved 93 forest healing instructors (25 males and 68 females). Of these, 72 participants (77.4%) were between the ages of 50 to 70 years. Ranked from highest to lowest, job satisfaction factors included being in the forest environment, healing, and fulfillment. In contrast, dissatisfaction factors included job insecurity, salary concerns, and the perceptions of other individuals, such as related public officials. Among the qualities needed in forest healing instructors, empathy was stated to be the most important. Most participants (96.8%) felt the need for in-service training, and 67.7% reported receiving training individually and were willing to pay for it. The best in-service training was perceived to be offer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owing to the quality and duration of the training and the extended financial support. Based 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forest healing instructors—primarily through media such as YouTube—healing programs that included meditation received the highest number of responses from program attendees, followed by those that included forest walks and those with footbaths. Most programs utilized similar devices such as InBody, heart rate variability (HRV)-measuring devices, and blood pressure monitors. Notably, participating instructors mentioned difficulties operating these devices due to time constraints.

목차
초록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과 데이터 수집 분석
    2. 조사방법 및 조사기간
결과 및 고찰
    1. 산림치유지도사 일반현황
    2. 산림치유지도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과 관련된조사
    3. 산림치유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조사
    4. 건강측정기 및 치유기기 관련 조사
References
저자
  • 지연희(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연구원) | Yeon Hui Ji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하만릉(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연구원) | Man Leung Ha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현(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부교수) | Hyun Kim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총규(경상국립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교수) | Chong Kyu Lee (Division of Environmental and Forest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