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On Tragedy: Maeterlinck, Nietzsche and Yeats KCI 등재

마테를링크 및 니체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예이츠의 비극론 연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7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The Yeats Journal of Korea (한국 예이츠 저널)
한국예이츠학회 (The Yeats Society of Korea)
초록

Intertwining bardic artistry with Bergson’s notion that “to perceive is to immobilise,” Yeats astutely discerned the potential of European Symbolist drama to inform his own theatrical venture. This resonance was notably apparent in the “static drama” championed by Belgian playwright Maurice Maeterlinck, a pivotal influence on Yeats during the 1890s, and one that would reverberate throughout his later years. Concurrently, Yeats found allure in Nietzschean philosophy’s exploration of tragedy, which highlighted the harmonious fusion of Apolline and Dionysiac impulses. This study delves into Yeats’s theory of tragedy, dissecting its merits and limitations by placing it in dialogue with Nietzsche’s philosophy of tragedy on one hand, and Maeterlinck’s conception of static drama on the other. Particular attention is devoted to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ragic effect and dramatic form in Yeats’s theory. While drawing profound inspiration from both sources, Yeats aspired to develop his distinctive theory of tragedy. In his vision, the essence of tragic elation arises from profound stillness, delving into the deepest corners of the human soul, ultimately striving for the transcendental.

예이츠는 아일랜드의 음유시적 전통과 당대 유럽의 지식사회에서 강한 영향력을 발휘한 부동의 미학을 연결지어 본인만의 독특한 비극론을 전개한다. 유럽 상징주의 드라마가 자신의 연극론 형성에 갖는 잠재력을 예리하게 간파한 예이츠는 특히 벨기에 극작가 모리스 마테를링크가 주창한 “정적 드라마”에 영향을 받는다. 동시에 그리스비극을 아폴로와 디오니소스적 욕망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의 산물로 바라보는 니체의 비극 철학에 매료된다. 본 연구는 예이츠의 비극 이론을 니체철학과 마테를링크의 극이론의 창의적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고 분석하며 그 장단점을 논의한다. 특히 ‘비극적 환희’라는 극적 효과가 극형식과 연계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에 주시한다. 예이츠는 그가 가졌던 사실주의에 대한 강한 반감 때문에 마테를링크의 일상성과 니체의 아폴로적인 욕망에서 보이는 형식의 중요성을 간과하게 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Yeats's Early Vision of Literary Theater
Ⅲ. Maeterlinck's Static Drama and Yeats
Ⅵ. Nietzsche, Yeats and the Problem of Tragic Form
Ⅴ. Conclusion
저자
  • Hyungseob Lee(Associate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at Hanyang University) | 이형섭 (한양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