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토목섬유로 보강된 아스팔트포장의 응력-변형 거동특성 KCI 등재

Stress-Strain Behavior of Flexible Pavement Reinforced with Geosynthetic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87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한국도로학회논문집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한국도로학회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초록

아스팔트포장층내에 보강용 토목섬유를 설치하여 포장층의 응력-거동특성을 연구한 예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지오그리드와 유리섬유로 보강한 층의 응력-변형 특성을 연구하였다. 유리섬유와 지오그리드의 강성이 다른 두가지 종류를 사용하고 설치위치, 포장단면층의 두께 변화를 주어 아스팔트포장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포장층내에 발생하는 수직응력, 수직변위, 최대전단응력을 분석한 결과 수직응력, 수직변위 보다 최대전단응력을 크게 감소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 최대전단응력 감소효과가 약 15$\sim$20% 정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강재의 탄성계수가 큰 유리섬유가 가장 효과가 좋으며 깊이 3cm$\sim$5cm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Very few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understand the stress-strain behavior of flexible pavements reinforced with geosynthetics in the middle of asphalt layer. In this study, the flexible asphalt layer was analyzed with finite element method to understand stress-strain behavior. The asphalt layer was reinforced with glass grid and geogrid. The reinforcement was applied in the asphalt layer to prevent its excessive deformation and shear failure. The location of installation and stiffness of the geosynthetics were varied to obtain optimum depth of reinforcement and proper modulus. The results indicate that geosynthetics are more effective for reducing maximum shear stress than those of vertical stress and vertical displacement. Maximum shear stress decreased 15$\sim$20%, and glass grid with high value of modulus was the most effective. Also, in order to prevent failure of asphalt layer, reinforcement should be installed in the 3cm$\sim$5cm depth.

저자
  • 안태봉(우송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Ahn Tae-Bong
  • 양성철(홍익대학교 건축공학과) | Yang Sung-Chul
  • 조삼덕(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연구부) | Cho Sam-Deok
  • 김남호(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과) | Kim Nam-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