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 최적화 방법을 이용한 서울시 소규모 노인복지센터의 최적 입지 연구: 공간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다목적 최적화 접근 KCI 등재

Optimal Locations for Small Senior Welfare Centers in Seoul Using Spatial Optimization Method: Multi-objective Optimization Approach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2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최근 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노인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를 고려하는 활동적 노후 및 고령친화도시의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지자체는 노인들이 지역 사회에서 여생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다양한 노인여가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노인 수요에 부합하는 서비스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별로 노인여가복지 서비스의 공간적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노인여가복지 입지와 관련하여 체계적인 법적 기준이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노인여가복지 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 불일치성을 탐색하고, 공간 효율성과 형평성을 고려한 노인복지센터의 최적 입지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 결과, 여러 입지 시나리오에 따라 서울시 노인복지센터의 공간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최적 입지 대안들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향후 노인복지 서비스 공급과 관련한 계획 및 정책에 있어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the quality of their life and ‘active aging’ or ‘age-friendly cities’ for healthy and active retirement for the elderly have been paid more attention. In this situation, many local governments attempt to provide various senior leisure welfare services to enjoy the rest of life in a local community. However, those services are not supplied properly in terms of the actual demand of elderly population, and there exists a spatial disparity of the provision of senior leisure welfare services. This is because there is no legal guideline on the spatial location of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plores a spatial mismatch between the demand and supply for senior leisure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suggests optimal locations for the senior welfare center by considering spatial efficiency and spatial equity. As a result, we presented various optimal solutions based on several location scenarios to enhance the spatial accessibility of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Also, our results can be utilized as useful materials for planning or policy-making for the future provision of elderly welfare services.

목차
I. 연구 배경 및 목적
II. 이론적 연구
    1. 노인여가복지 전달체계
    2. 노인복지 시설에 관한 연구 동향
    3. 노인복지 시설 접근성 제고의 중요성
    4. 노인복지 시설 최적 입지 모델링 방법
III. 서울시 노인복지관의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1. 서울시 노인복지관 입지 현황
    2. 서울시 노인여가복지 시설의 수요와 공급현황
    3. 서울시 노인복지관의 수요와 공급의 공간적불일치성
IV. 서울시 노인복지관 입지 최적화모델링
    1. 노인복지관 입지 최적화를 위한 공간적재현
    2. 다목적 공간 최적화 모델링: 공간 효율성,공간 형평성, 절충적 시나리오
    3. 서울시 소규모 노인복지센터 입지 최적화결과
V. 결론

저자
  • 김지윤(서울대학교 지리학과 석사과정) | Jiyun Kim (Master Student,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건학(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 및 국토문제연구소 겸무연구원) | Gunhak Lee (Professor, Department of Geography and Institute for Korean Regional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