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장품소재로서 곽향 추출물 및 발효물의 생리활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gastachis herba Extract and Fermented Products as Cosmetic Material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곽향은 서양에서 Korea mint라고 불릴 정도로 허브와 쓰임새가 매우 유사하다. 서양의 허브는 화장품의 소재로 많이 사용하지만 곽향은 우리나라에서 약재로 더 많이 사용되어 화장품 소재로서의 기능 성을 비교해보았다. 곽향 추출물과 추출물을 이용한 유산균과 효모 발효물, 에센셜오일, 플로럴워터에 대한 항산화, 미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항균력 실험을 진행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모든 샘플에서 높은 효과 가 보였고, 미백과 폴리페놀, 항균력에서 에센셜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반면에 플라보노이드는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효과가 보였다. 이런 결과로 에센셜오일이 기능적으로 가장 큰 효과가 있었다. 하지만 추출물을 가지고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들이 에센셜오일 만큼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 인해 에센셜오일의 적은 추출량에 비해 효모 발효를 진행한 시료가 화장품소재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Agastachis herba is so similar in use to herbs that it is called Korea Mint in the West. Western herbs are commonly used as ingredients in cosmetics. However, in Korea, Agastachis herba is primarily used as a medicinal herb.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one cosmetic ingredient with another cosmetic ingredient. Antioxidant, whitening, polyphenol, flavonoid, and antibacteri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lactobacillus, yeast ferments, essential oils, and floral water using extracts from Agastachis herba. Antioxidants exhibited significant effects in all samples, while essential oils displayed the highest efficacy in terms of whitening, polyphenol content,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Flavonoids exhibited the strongest effect in the 70% ethanol extract. The essential oil had the most significant functional impac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fermented products that underwent yeast fermentation with extracts were as effective as essential oils.

목차
1. 서 론
2. 실 험
    2.1. 재료
    2.2. 곽향 추출물의 제조
    2.3. 곽향 발효물의 제조
    2.4. 곽향 Essential oil 추출
    2.5.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2.6.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2.7.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2.8.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2.9. 항균력 실험 분석
    2.10. HPLC를 이용한 폴리페놀 분석
    2.11.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3.2. Tyrosinase 저해 활성 분석
    3.3.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3.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3.5. 항균력 실험 분석
    3.6. HPLC를 이용한 폴리페놀 분석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이정로(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학생) | Jeong-Ro Lee (Der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Student))
  • 한갑훈(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교수) | Kap-Hoon Han (Der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Professor))
  • 오태구(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강사) | Tae-Goo O (Der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Lecturer))
  • 강정란(우석대학교 제약공학과 교수) | Jeong-Ran Kang (Derpartment of Pharmaceutical Engineering, Woosuk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