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어 교육 어휘의 선정과 배열 연구 동향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76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한국어문화교육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국어문화교육학회 (The Society for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초록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 어휘의 선정과 배열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 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248편의 연구를 연도별, 연구 대상 별, 어휘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도별 동향으로 상 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전반적인 상승세를 이어왔다. 연구 대상의 학습 목적으로는 ‘일반 목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학습자 언어권으로 는 언어권과 상관없이 진행된 ‘범언어권’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 며, 학습자 숙달도로는 ‘전체급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어휘 유형으로는 ‘학술 어휘’, ‘주제별 어휘’, ‘한자어’ 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에 향후 학습자의 학습 목적 및 배경, 언 어권, 숙달도 등 변인을 구체화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으며, 다 양한 학습 목적 및 언어를 가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다양 한 어휘 유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vocabul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eek future directions. To this end, 248 studies published after 2000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year, subject of researches, and vocabulary type. As a result, there was a pattern of repeated rise and fall in the yearly trend, but overall it showed an increasing trend. As the purpose of learning, ‘general purpose’ researches are the main focus, and ‘various tongues’ researches, which does not target specific language groups, are the most common, and learner mastery is targeted at ‘all the levels’. In terms of vocabulary types, research on ‘academic vocabulary’, ‘thematic vocabulary’, ‘Chinese character words’, etc. has been very acti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by specifying variables such as the learner’s learning purpose, language range, and proficiency level in the future. Meanwhil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ith multiple learning purposes and language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more different vocabulary types.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 어휘의 개념 및 범위
3. 연구 방법 및 절차
    3.1. 분석 대상 및 방법
    3.2. 분류 기준
4. 연구 동향 분석
    4.1. 연도별 동향 분석
    4.2. 연구 대상별 동향 분석
    4.3. 어휘 유형별 동향 분석
5. 결론 및 제언
저자
  • 증기(부산외국어대학교) | Zeng Qi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