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울진 조하대 경성암반 해역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KCI 등재

Biodiversity of Macrofauna at Subtidal Rocky Shore Around Ulj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7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울진 해역 경성암반 조하대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3년간 총 5개 정점을 대상으로 계절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지역에서 대형 무척추동물은 총 146종이 출현하였고, 우점 분류군은 연체동물(67종), 절지동물(27종)로, 절지동물 (6,468개체), 연체동물(1,098개체), 극피동물(584개체) 순으로 총 8,688개체가 출현하였다. 계절별 조사 시 여름철에 총 96종, 2,525개체가 출현하여 가장 높았고, 정점별 조사에서는 정점 4에서 가장 많은 출현종수에 가장 낮은 개체수를 보였으며(81종, 1,377개체수), 정점 3에서 가장 낮은 출 현종수에 가장 높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45종, 2,213개체수). 이러한 결과는 다양도와 균등도에 서는 복족류가 풍부도 측면에서는 따개비류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3에서 따개 비류가 83.4%의 비율로 다른 정점에 비해 최고 2배 이상 차이를 보여 따개비류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Macro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at five sites in subtidal zone of Uljin on the east coast of Korea from March 2010 to February 2013. A total of 146 speci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including 67 molluscs, 27 arthropods, and 8,688 individuals, including 6,468 arthropods, 1,098 molluscs and 584 echinoderms. In the seasonal investigation, summer has been the highest in 96 species and 2,525 number of individuals. Site 4 was the highest species but number of individuals were the lowest (81 species with 1,377 number of individuals), whereas site 3 was the lowest species and number of individuals were the highest (45 Species with 2,213 number of individuals). These result indicate that Balanus species affected to richness and the other side a gastropod influence by diversity and evenness. And site 3 seems to be good habitate environment for Balanus as the result of 83.4% of Balanus rather than other sites.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저자
  • 이재호(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Jae Ho Lee (East Sea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Uljin 36315, Korea)
  • 황강석(국립수산과학원 연근해자원과) | Kang Seok Hwang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Busan 46083, Korea)
  • 노현수(한국해양과학기술원 동해연구소) | Hyun Soo Rho (East Sea Research Institut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Uljin 36315, Korea)
  • 최창근(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 Chang Geun Choi (Department of Ecological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