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계 무안만 조간대에서의 유기물 함량 및 대형저서동물의 공간 분포특성 KCI 등재

The Spatial Patterns of Organic Matter Content and Macrobenthos during Summer in the Muan Bay Intertidal Zone,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02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무안만 조간대의 대형저서생물 군집구조와 퇴적물의 유기물 분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2019년 8월에 21개 정점에서 퇴적층을 채취하여 입도 및 유기 물 함량(강열감량과 총유기탄소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형저서동물을 분류하고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조간대 퇴적층의 입도는 무안만 북측 내만이 비교적 조립하였고, 만 입구 주변 은 주로 실트질의 특성을 보였다. 유기물 함량(강열감량과 총유기탄소함량)은 목포 지역 근처 에 위치한 정점 10에서 가장 높았으며, 만의 북측에 위치한 정점 20이 가장 낮았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 중 1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 종은 기수우렁이류(Assiminea sp.), 종밋(Musculista senhousia), 비틀이고둥(Cerithideopsilla cingulata)이었고, 고리버들갯지렁이(Heteromastus filiformis) 4종이었다. 정점 10에서 전체 정점과 비교하여 최대 종수와 밀도를 보였다. 출현종을 토대로 집괴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실시한 결과 무안만 조간대는 총 4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상관분석 결과 총유기탄소함량과 생물밀도는 유의한 상관관계(p<0.05)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에 의해 무안만 조간대에 있어서 대형저서동물 분포는 입도 및 유기물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ssociation between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sediments and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in the intertidal zone of the Muan bay. The sediment samples obtained from 21 sampling sites in August 2019 were analyzed for sediment composition and organic matter content (Ignition loss; IL and Total organic carbon; TOC). Further the macro benthos was sorted and enumerated. The sediments of inner area of bay has coarser composition where mouth part of bay, the sediments were predominantly silty. The highest organic matter content (both of IL and TOC) was measured at station 10 located near the Mokpo area while the lowest values was measured at station 20 adjacent to the north side of the bay. The 4 most abundant species accounted for more than 10% of all specimens were Assiminea sp., Musculista senhousia, Cerithideopsilla cingulate and Heteromastus filiformis. The maximum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were observed at station 10.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llow identification of four benthic assemblages based on species abund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the density with TOC. Based on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macrobenthos varied with the differences in sediment composition and organic matter content.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저자
  • 고은영(목포해양대학교 대학원 해양시스템공학과) | Eun Young Ko (Department of Ocean System Engineering,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8628, Korea)
  • 이경선(목포해양대학교 환경 · 생명공학과) | Kyoung Seon Lee (Department of Environmental & Biotechnology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Mokpo 586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