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에 나타난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 KCI 등재

The BeopJeong Monastery Anti-Japanese Uprising of 1918  in the Document of “The Adjudication on Jung Kuyong by the Retrial Court in Taeg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133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일제강점기 제주도에서 전개한 법정사 항일운동은 봉려관(1865-1938)이 항 일을 염두에 두고 1911년 9월 창건한 법정사에서 봉기한 일제 침략에 대한 저 항운동이었다.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은 송치자 66명 중 현재 공개된 유일한 판결 문이며 법정사 항일운동의 일련의 정황이 담긴 공문서이다.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에 의거하면, 법정사 항일운동은 1918년 음력 6월부터 제주 법정사에서 주지 김연일의 총지휘 하에 본격적인 사전 논의와 기 획, 준비를 마친 후, 1918년 음력 9월 3일 흑야(黑夜)에 법정사에서 기도를 한 후, 김연일과 정구용의 주도 하에 간단한 출정식을 마치고, 법정사를 출발해 상 동-영남리-호근리・서호리-강정리-도순리-하원리-중문리 경찰관 주재소까지 20여㎞ 이어진 약 400명 제주도민의 항일무장투쟁이었으며, 법정사는 항일 핵 심 인물들이 총집결했던 거점지였고 항일 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다.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은 일제에 강점된 우리의 조국을 “원래의 한국시대 로 복귀”시키기 위한 저항이었다. 결코 특정 종교의 창시자 또는 가담자의 신앙 이 요인은 아니었다. 이번에 새로 번역, 교감한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 그리고 본 논문에 서 처음 공개한 정구용의 9건 재판 문건이 향후 법정사 항일운동 연구에 도움 이 되길 기대한다.

The BeopJeong Monastery Anti-Japanese Uprising refers to a revolt against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based in the BeopJeong Monastery, which was built by Bongnyeogwan in September 1918 for such a purpose. The Adjudication on Jung Kuyong by the Retrial Court in Taegu is the only official court document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a series of events that had led up to the revolt. According to this document, the uprising was planned and organized in full-scale in BeopJeong Monastery of Jeju from the sixth lunar month of 1918 under the leadership of Abbot Kim nyeonil. It was an armed resistance in which roughly 400 people participated. They first prayed in the monastery in the dark hours of the third day of the ninth lunar month, held a ceremony for the charge, left the monastery, walked about twenty kilometers through Sang-dong, Yeongnam-ni, Hogun-ni, Seoho-ri, Kangjŏng- ni, Tosun-ni, and Hawon-ni until they reached the police station in Chungmun-ni. BeopJeong Monastery was a gathering place for the key anti-Japanese activists, serving as the headquarter of their resistance movement. The goal of their uprising was to “return to the time of Korean sovereignty,” which had been forcefully taken away by Japan. Therefore, the founder of a particular religion or the faith of his followers was never the main factor of the uprising. In this article, I present for the first time the Jung Kuyong Adjudication Document which was newly translated and triangulated, along with nine additional documents on Jung’s trial in the hopes of assisting future research on the BeopJeong Monastery Anti-Japanese Uprising.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鄭九鎔大邱復審法院判決文)」5) 번역, 교감
III. 「정구용 대구복심법원 판결문」에 나타난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
    1. 법정사 항일운동 사전 계획
    2. 법정사 항일운동 진행과정과 상황
    3. 정구용의 재판 문건
IV. 나오는 말
<참고문헌>
저자
  • 정진희(혜달)(사단법인 봉려관불교문화연구원장) | Jung, Jin-Hie(Headarl) (Bongnyeogwan Research Center for Buddhism and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