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인안나/이슈타르 도상과 정체성의 변화 KCI 등재

The Transformation of the Mesopotamian Goddess Inanna/Ishtar’s Iconography and Ident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6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이 연구는 메소포타미아의 여신 인안나의 도상과 정체성의 변화에 관한 것이다. 수메르의 도시국가시대에서 인안나는 풍요와 대지의 여신이자 하늘의 여신으로 섬겨졌다. 이후 아카드 의 제국기에 인안나는 전쟁과 파괴의 여신인 이슈타르와 결합한다. 인안나가 이슈타르의 속 성을 지니게 되면서 인안나의 도상에도 큰 변화가 생긴다. 우루크의 주식인 보리 혹은 보리 단으로 상징화되는 등 대지의 여신으로 표현되던 인안나는 어깨에서 무기가 자라고, 사자를 제압하는 무시무시한 전쟁신의 모습으로 변화한다. 인안나가 이슈타르와 결합한 데에는 아카 드의 사르곤대왕과 그의 딸 에헨두안나의 역할이 크다. 수메르와의 종교적 제의를 표준화하 고 종교사상을 통합함으로서 수메르의 여신 인안나와 셈족의 여신 이슈타르의 속성은 완전히 융합되어 동화된다. 바빌로니아시대의 미술에서 인안나/이슈타르는 사랑과 성, 금성의 속성이 강조된다. 풍요 의 여신과 목축의 신 두무지와의 신성한 결혼은 아키투 축제에서 왕과 인안나 신전의 사제와 의 결혼으로 재현되기도 하였다. 신성한 결혼과 성행위는 풍요와 연관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슈타르 여신의 모습도 점차 여성성을 강조하거나 가슴과 엉덩이, 음부를 강조한 지모신의 면모를 보이게 된다. 한편 고 바빌로니아시대 점성술이 발전하면서 달과 금성, 태양의 신은 최상위 신으로 섬겨지면서 천체의 상징을 부각시키는 표현도 등장한다. 수메르의 여신인 인안나는 자신의 본질적인 속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끊임없이 변화하였 다. 그 정체성의 변화는 명멸하는 국가의 역사와 문화와 만나 인안나의 도상에 투영되었다. 인안나는 다른 어떤 여신보다 생명력이 강하다. 그 생명력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흡 수성과 포용성일 것이다. 인안나는 타지역의 문화와 신화를 흡수하며 확산되었고, 서아시아 여신의 모체라고 할 정도로 다른 지역 여신의 정체성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conography and identity evolution of Inanna, the Mesopotamian goddess. During the Sumerian city-state era, Inanna was revered as a goddess of fertility, associated with both earth and sky. However, during the imperial era of Akkad, she became intertwined with Ishtar, the goddess of war and destruction. This fusion of attributes led to significant changes in Inanna’s iconography. Initially depicted as a goddess of the earth, often symbolized by barley, a staple crop in Uruk, Inanna later transformed into a formidable war deity, depicted with arms emerging from her shoulders and overpowering a lion. The amalgamation of Inanna with Ishtar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reign of King Sargon of Akkad and his daughter Enheduanna.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religious rituals and the integration of religious concepts, the attributes of Inanna from Sumer and Ishtar from Semitic traditions merged and assimilated completely. In Babylonian art, Inanna/Ishtar is depicted with a focus on attributes such as love, sexuality, and Venus symbolism. The sacred union between the goddess of fertility and Dumuzi, the god of herding, was ritually reenacted during the Akitu festival, where the king and a priest would symbolically marry at the Inanna temple. Since the sacred marriage and sexual activity are associated with fertility, the representation of the goddess Ishtar gradually emphasized femininity, highlighting features such as the chest, buttocks, and shins. Furthermore, during the later Babylonian period, with the advancement of astrology, the deities associated with the moon, Venus, and the sun were revered as supreme gods. Consequently, artistic expressions began to focus solely on the symbolism of these celestial bodies. Inanna, the Sumerian goddess, underwent constant transformation while retaining he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se changes in her identity were reflected in Inanna's iconography as she intersected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ancient Near East. Inanna possessed a vitality stronger than that of any other goddess, rooted in absorption and inclusion. She spread her influence by assimilating the cultures and myths of other regions, profoundly shaping the identities of local goddesses to the extent that she became the progenitor of West Asian goddesses.

목차
Ⅰ. 머리말
Ⅱ. 수메르의 여신 인안나의 탄생과 도상
    1. 대지와 생장의 여신 인안나
    2. 하늘의 여신 인안나와 물과의 관련성
Ⅲ. 전쟁과 파괴의 여신 이슈타르
    1. 이슈타르와 인안나 정체성의 융합
    2. 전쟁과 파괴의 여신 이슈타르
Ⅵ. 사랑과 성, 금성의 여신 이슈타르
    1. 사랑과 성, 풍요의 여신
    2. 금성, 인안나/이슈타르의 현현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이승희(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 Lee Seunghui (Research Professor, Namdo Cultural Research Institute, Sunche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