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도시 녹지 지속가능성을 위한 가뭄스트레스에 대한 지피식물의 생육 회복력 분석1) KCI 등재

Analysis of Drought Stress Recovery in Ground Cover Plants for Urban Green Space Sustain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관수조건에 따른 지피식물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수분 스트레스 후 생육 회복력을 평가하 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지피식물로 많이 사용되는 초본류 4종을 대상으로 피복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 는 적정 식재간격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관수처리 유형에 따른 생육 및 피복률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식물마다 피복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적정 식재간격에 차이가 있었다. 돌단풍은 30~35cm, 송엽국은 30~40cm간격, 꽃잔디는 40cm이상, 돌나물은 20cm미만의 식재간격이 효과적이다. 관수처리에 따른 생육특성을 분석한 결과 관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초장이 길지만 처리기간 동안 생육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피복률은 관수처리와 식물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송엽국과 돌단풍은 무관수 20일 후 관수가 이루어지면 피복률도 회복되었으며, 꽃잔디는 관수가 이루어지고 나서 시간이 경과된 후에 피복률을 회복하였다. 피복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진 이후에는 토양 수분부족에 의한 피복률의 변화가 거의 없었 으나 피복 초기에 수분이 공급되지 않으면 피복에 어려움이 있다. 꽃잔디, 송엽국, 돌단풍은 일정기간 무관수가 지속되더라도 다시 관수가 이루어지면 회복이 될 수 있다. 즉 식물관리에 있어서 종 마다 차이 는 있으나 관수관리가 중요하며, 일정기간 무관수 후 관수가 이루어지면 생육이 회복될 수 있다.

Thi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ground cover plants under different watering conditions and evaluate their growth recovery after moisture stress. Four species of succulents commonly used as ground cover plants were sele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planting spacing that achieves the purpose of ground coverage. Additionally, the changes in growth and ground covering rate were analyzed based on different watering treatments. There were variations in the optimal planting spacing required to achieve covering coverage for each plant: Mukdenia rossii required 30-35cm, Lampranthus spectabilis required 30-40cm spacing, Phlox subulata required over 40cm, and Sedum sarmentosum required spacing less than 20cm. Analyzing the growth characteristics based on watering treatments showed that continuous watering led to longer stems, but there were minimal growth changes during the treatment period. covering rates differed based on watering treatment and plant type. Lampranthus spectabilis and Mukdenia rossii showed covering recovery 20 days after no watering when watering resumed, while Phlox subulata showed covering recovery after some time had passed since watering resumed. Once covering was established, there were minimal changes in covering rates due to soil moisture scarcity. However, insufficient moisture during initial covering growth posed difficulties. Phlox subulata, Lampranthus spectabilis, and Mukdenia rossii could recover upon water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no watering. Therefore, whil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pecies in plant care, proper watering management is crucial, and growth recovery can occur upon watering after a certain period of no watering.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2.1 실험재료
    2.2 실험구 조성 및 실험 처리
    2.3 측정 및 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적정 식재간격 설정
    3.2 관수처리에 의한 생육특성 변화
    3.3 관수처리에 의한 토양특성 변화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고바울(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한승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Seungwon Han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김우영(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Woouyoung Kim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이형석(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Hyeongseok Lee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 정나라(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과) | Nara Jeong (Urban Agriculture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