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마트러닝 관련변수에 관한 메타분석 KCI 등재

Meta-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Smart 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61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스마트 기기의 확산으로 스마트러닝이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스마트러닝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이에 기존의 스마트러닝 연구 중에 서 상관계수 결과를 포함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스마트러닝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선행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스마트러닝 특성요인으로 동기유발,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로 유 목화하고, 결과변수로는 만족도, 성과, 태도를 정의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스마트러닝 전체 관점뿐 아니라 각 특성요인인 동기유발, 시스템, 콘텐츠, 서비스 모든 측면에서 스마트러닝의 효과크기는 유의하게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유일하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 성과에 대한 콘텐츠의 효과크기를 제외 하고는 만족도, 성과, 태도 모든 측면에서 스마트러닝 각 특성요인의 효과크기가 유의하게 중간 정도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 측면에서는 직장인이 가장 높은 효과를 유의하게 보였다. 표본수에 따른 효과크기 측면에서는 300명에서 999명까지가 유의하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이 시도한 스마트러닝 메타분석은 시의성으로나 확장된 연구 대상 논문 수 측면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수많은 스마트러닝 특성요인과 결과변수를 유목화하고 분류한 뒤 이에 대한 효과크기를 측정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각 연구자들의 시각과 필요에 따라 다양한 표현을 동원한 스마트러닝 특성요인과 결과변수를 본 연구의 연구자들이 종합적인 관점에서 분류한 것은 향후 스마트러닝 연구를 위한 하나의 새로운 밑거름이 될 수 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devices, smart learning has become popular, and as a result, research on smart learning is being actively conducted and research results are accumulating.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by conducting a meta-analysis on papers that included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among existing smart learning studies. In this process, previous research results were reviewed and smart learning characteristic factors were categorized as motivation, system, content, and service, and outcome variables were defined as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attitude. As a result of the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was found to be at a significantly medium level not only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of smart learning, but also from all aspects of each characteristic factor such as motivation, system, content, and service. Smart learning outcome variables also showed that the effect size of smart learning was significantly medium in all aspects of satisfaction, performance, and attitude, except for the effect size of content on performance, which was found to be exceptionally insignificant.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 office workers showed the highest effect, and in terms of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amples, those from 300 to 999 showed the highest effect. The smart learning meta-analysis attempted i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erms of timeliness and the expanded number of papers covered by the study,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ssified numerous smart learning characteristic factors and outcome variables and measured the size of their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스마트러닝의 개념 및 특성요인
    2. 메타분석 관련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1. 연구설계 및 연구모형
    2. 분석 대상 논문의 수집과 선정
    3. 자료분석
IV. 연구결과
    1. 특성요인별 효과크기 분석
    2. 범주형 변수별 효과크기 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부록> 분석대상 논문에 포함된 연구의 특징
Abstract
저자
  • 강금만(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Kang Kum Man
  • 장신애(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Jang Sin Ae
  • 송영수(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교수) | Song Young S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