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Game Design Component Model using AHP KCI 등재

AHP를 활용한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 모델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3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컴퓨터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한국컴퓨터게임학회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초록

상용 게임 엔진의 발달로 인해 게임 제작에서 기술력은 점차 평준화되고 있고, 게임 디자인 능력이 성공의 열쇠로 부각되고 있다. 재미있는 게임이란 무엇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게임을 상세 분석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게임 제작 실무에서도 도움이 되는 게임 디자 인 구성요소 모델을 제시하여 게임 디자인 과정에서 체계적인 게임 디자인이 이뤄지도록 가이 드라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에 대한 선행 연구 를 통해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 계층 모형을 설계했다. 모형은 5개의 상위계층과 15개의 하위 계층으로 구성됐다. 설계된 모형을 AHP 연구 방법론을 채택하여 싱글 플레이 게임과 멀티 플 레이 게임에 적용하여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비교분석했다. 싱글 플레이 게임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는 조작, 규칙, 게임 플레이, 스토리텔링, 캐릭터로 나타났으며,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중 요한 구성요소는 밸런스, UI, 규칙, 조작, 게임 플레이로 나타났다.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game engines, technical skills in game production are gradually being standardized. Game design ability is emerging as a key to succes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a fun game is,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game in detai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game design component model that is helpful in game production practice and provide guidelines to ensure systematic game design during the game design process. This study designed a game design component hierarchy model through prior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game design components. The model consisted of 5 upper classes and 15 lower classes. The designed model was adopted using the AHP research methodology and applied to single-player games and multiplayer games to compare and analyze importance and priorities. Important components in single-player games were operation, rules, game play, storytelling, and characters, and important components in multiplayer games were balance, UI, rules, operation, and game play.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2 연구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선행 게임 구성요소 모델 연구
    2.2 게임 구성요소 선행 연구
    2.3 게임 디자인 구성요소 정리
3. 연구 내용
    3.1 연구 모형 설계
    3.2 AHP 일반 항목 분석
    3.3 연구 모형에 대한 일관성 검증
    3.4 싱글 플레이 게임에서 게임 디자인구성요소 우선순위
    3.5 멀티 플레이 게임에서 게임 디자인구성요소 우선순위
    3.6 싱글-멀티 플레이 게임의 디자인구성요소 우선순위 비교
4. 결론
Reference
국문초록
결론 및 향후 연구
Author Biography
저자
  • Ki Teok NAM(School of Game Studies & Creation, Dongyang University, 2741 Pyeonghwaro, Dongducheon, Gyeonggi 11307, Korea) | 남기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