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병원코디네이터에 대한 지각된 진정성과 공감 및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henticity and Empath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Hospital Coordinato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의료미용을 위한 상담 시 병원코디네이터와 만나는 접점에서 지각된 진정성이 공감 과 커뮤니케이션,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료수집은 상담을 경험한 고객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병원코디네이터에 대한 지각된 진정성은 공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으며, 공감은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공감과 커뮤니케이션 만족도는 재방문 의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코디네이터의 진정성 있는 상담은 공감을 형성하여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아지고 병원을 다시 방문하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단순히 매출 향상이나 직무에 의해 만들어진 상담이 아니라 고객을 배려한 진정성과 공감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면 신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의료 미용 기관의 성과에도 기여할 수 있을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perceived authenticity on empathy, communication, and revisit intentions at the point of contact with hospital coordinators during counseling for medical beauty.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stomers who experienced counseling, and statistical analysis used the SPSS 21.0 program.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perceived authenticity of hospital coordina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empathy and communication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uthentic counseling by hospital coordinators leads to increased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revisiting the hospital by forming empathy. Therefore, if communication is made through authenticity and empathy in consideration of customers, rather than just sales improvement or job-based counseling, it can build trust and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of medical beauty institutions in the long run.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병원코디네이터
    2.2. 지각된 진정성
    2.3. 공감
    2.4. 커뮤니케이션 만족도
    2.5. 재방문 의도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도구
    3.3. 분석방법
4. 결과 및 고찰
    4.1. 표본의 인구통계적 특성
    4.2. 연구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4.3.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4.4. 지각된 진정성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4.5. 지각된 진정성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4.6. 공감이 커뮤니케이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7. 공감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4.8.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미치는 영향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윤두윤(서원대학교 뷰티학과, 조교수) | Du-Yoon Yoon (Department of Beauty Seo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