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등학생이 지각한 학교 만족도, 교사, 부모와의 관계가 학생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s of School Satisfaction, Teacher and Parent-Relationships Perceived by 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Student Student Ag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9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인식한 학교 만족도와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가 학생 주도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효능감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구조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 구의 대상은 서울시교육청에서 2010~2018년 동안 실시한 서울교육종단연구 1차년도의 초등학교 4학 년 패널 4,326명이다. 이를 토대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성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인식한 학교 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학생 주 도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과 교사와의 긍정적 관계는 자아효능감과 학생 주도성에 정적으 로 유의하였다. 셋째, 자녀와 부모와의 원만한 관계는 자아효능감과 학생 주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하 며,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아효능감은 학생 주도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 만족도, 교사 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와 학생 주도성을 각각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만족 도, 교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자아효능감, 학생 주도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한 뒤 이 연구결 과를 바탕으로 학생 주도성에 대한 시사점을 밝히고 지원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direct impact of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school 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arents on student student agency, as well as the indirect impact mediated by self-effica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26 four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SELS) condu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rom 2010 to 2018. Based on th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struc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perceived schoo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self-efficacy and student agency. Second,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self-efficacy and student agency. Third, harmonious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and student agency. Fourth,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student agency and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tudent agency resp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elucidat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satisfaction, relationships with teachers, parents, self-efficacy, and student agency, and provides implications for student agency al.ong with suggestions for support measur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학교 만족도와 학생 주도성의 관계
    2. 교사-학생의 관계와 학생 주도성
    3. 학생-부모의 관계와 학생 주도성
    4. 자아효능감과 학생 주도성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 분석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구조적 관계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한올(서울왕북초등학교 교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 | Choi Han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