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스마트 홈 기술 사용 경험 KCI 등재

Experienc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y Using Smart Home Technolog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17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이 스마트 홈 기술을 통한 일상생활의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탐구하여, 이 기술 이 기존의 가정환경수정 프로그램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 1명으로,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연구를 통해 스마트 홈 기술 사용 전후의 변화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인터뷰는 2021년 7월 초기 인터뷰 1회, 8월 중간 인터뷰 1회, 12월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인터뷰 1회를 대면으로 30분~1시간 동안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으로 진행되는 반복 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 홈 적용 환경’, ‘스마트 홈 사용 경험’, ‘스마트 홈 사용으로 겪은 변화’라는 세 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 주제들은 연구 참여자가 경험한 ‘주요 스마트 홈 기술’, ‘적용한 스마트 기기’, ‘스마트 홈에 대한 기대’, ‘주관적 실제’, ‘내적 변화’, ‘독립적인 일상생활’이라는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도출된 개념은 15개의 의미 단위와 51개의 중심의미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스마트 홈 기술이 경추 척수손상 장애인의 일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불러오며, 장애인 삶의 질 향상에 뒷 받침하는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스마트 홈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Objective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mart home technology on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and analyzes their experiences and changes throughout the application process. By doing so, it aims to illuminate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who have experienced smart homes an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integrating smart home technology into existing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programs. Methods :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one individual with a cervical spinal cord injury, explored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o deeply understand the changes and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smart home technology. Interviews were conducted face-to-face in July for an initial interview, in August for a mid-term interview, and in December for a post-smart home use experience interview, each lasting between 30 minutes to an hour. Data analysis utilized the iter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involving open coding, categorization, and category verification. Results : The analysis revealed three main themes: ‘smart home application environment,’ ‘smart home usage experience,’ and ‘changes experienced using smart homes.’ These themes were organized into concepts such as ‘major smart home technologies’, ‘applied smart devices’, ‘expectations for the smart home’, ‘subjective reality’, ‘internal change’, and ‘independent daily life’, resulting in 15 units of meaning and 51 central meanings.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smart home technology can bring positive changes to the daily lives of individuals with cervical spinal cord injuries and contribute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clinical application potential of smart home technologies, suggesting that they can contribute to supporting the independent daily living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ing the home environment to better suit their physical function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사례 연구
    2. 연구 참여자
    3. 연구 과정
    4. 자료 수집 및 분석
    5.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Ⅲ. 연구 결과
    1. 스마트 홈 사용 환경
    2. 스마트 홈 사용 경험
    3. 스마트 홈 사용으로 겪은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Abstract
저자
  • 문광태(연세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박사 과정) | Moon Kwangt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Doctor Course)
  • 김종배(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Kim Jongba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