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홍삼가공식품의 식품유형별 및 제형별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Ginsenoside Content in Processed Red Ginseng Foods Based on Food Type and Formul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323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서울 시내 유통점과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입한 홍삼함 유식품 66건과 건강기능식품 홍삼제품 35건의 기능 성분 인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홍삼함유식품 66건 중 전통시장에서 구입한 2건은 진세노사이드가 검출 되지 않았고 64건의 제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에 대 한 기준은 없지만 일일 섭취량 기준 0.55-71.56 mg을 함 유하고 있었다. 건강기능식품의 홍삼제품은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이 분말형 제품을 제외하고 일일 섭취량 기준 18.23 mg으로 홍삼함유식품의 8.80 mg 보다 약 2배 정도 가 많았다. 홍삼과 흑삼 비교 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홍 삼 제품이 흑삼 제품보다 많거나 비슷하였으나 분말형 제 품의 경우 흑삼 제품이 2배 많았다. 제형별 진세노사이드 평균 함량은 일일섭취량 기준 농축액 21.95 mg으로 가장 많고 분말 형태 12.54 mg, 스틱형 7.36 mg, 파우치형이 4.10 mg 순이었다. 흑삼제품은 고기능성으로 알려져 있으 나 대부분 일반 식품으로 판매되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수 준의 관리와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흑삼의 규격기 준 설정 이후에는 흑삼제품의 기능성분 함량 재평가가 필 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스틱형이나 농축액 제품의 경우 건강기능식품뿐만 아니라 일반식품인 액상차, 홍삼음료로도 널리 판매되고 있어 식품유형 표시를 명확히 해야 할 것 으로 보인다. 최근 면역력 향상을 위한 소비자의 관심 증 가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 서 홍삼을 함유한 식품을 섭취 목적에 맞게 선택할 수 있 도록 정확한 함량정보 제공을 위해 다양한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품질평가가 필요하다.

Red ginseng is manufactured as a health-functional food and is also present in various food types and in different product forms.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standardized regulation of ginsenoside content in foods containing red ginseng.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ginsenoside content of 66 red ginseng-containing foods and 35 health-functional foods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the market. The ginsenoside content was assess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 (LC)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methods. The ginsenoside content of the various food types ranged 0.0 (not detected)-71.567 mg per daily intake of foods containing red ginseng. Sugar-preserved foods had the highest ginsenoside content, followed by solid teas, liquid teas, and red ginseng beverages. For health-functional foods, the ginsenoside content ranged 3.4-58.5 mg per daily intake, with levels ranging 83- 607% of the indicated amounts. All values met the established standards. Upon comparing red ginseng health-functional foods and red ginseng-containing foods, the average ginsenoside content was determined to be 18.21 and 8.79 mg, respectively, thus being nearly twice as high in health-functional foods. However, there was a minimal difference between the ginsenoside content of red and black ginseng, with values of 11.84 and 12.63 mg, respectively.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on the variations in ginsenoside content of red and black ginseng in various food forms. This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valuable for future regulations and consumer choice of products containing red ginseng.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대상시료
    표준물질 및 시약
    분석법
    분석법 검증
Results and Discussion
    유효성 검증
    식품유형별 기능성분 함량
    제형별 기능성분 함량
    홍삼제품과 흑삼제품 기능성분 함량 비교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이윤정(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Yun-Jeong Yi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 장민수(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Min-Su Cha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
  • 이인숙(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In-Sook Le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
  • 김현정(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Hyun-Jeong Kim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
  • 장현정(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Hyun-Jeong Ja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
  • 황인숙(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In-Sook Hwa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 Seoul,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