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ules for Evaluating Decommissioning Scenarious Using Digital Mock-Up System KCI 등재 SCOPUS

디지털 목업 시스템을 이용한 해체 시나리오 평가용 해체공정 평가모듈 개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803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방사성폐기물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초록

해체 작업은 최적의 해체시나리오에 따라 경제적이면서 안전하게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염해체의 계획단계에서 시나리오의 다양한 관점에서의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사전에 해체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자료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모듈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체 시나리오의 전체적인 과정을 컴퓨터 가상공간에서 표현하여 해체과정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디지털 목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해체일정과 예상비용을 산출하기 위해 해체작업시간 및 예상비용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대상물의 방사화 정도를 쉽게 파악하기 위하여 방사화 가시화 모듈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결과와 다른 여러 중요요소를 기초로 하여 해체 시나리오를 평가하는 방법론에 대해 기술하였다.

In the decommissioning and decontamination(D&D) planning stage, it is important that the scenarios are evaluated from an engineering point of views because the decommissioning work has to be executed economically and safely by following the best scenarios. Therefore, we need to develope several modules to evaluate the decommissioning scenarios. In this paper, the digital mock-up system is constructed in the virtual space to simulate the whole decommissioning process. The schedule evaluating equation and cost evaluation equation are derived to calculate the working time and the expected cost. And in order to easily identify the radiation level about the activated objects, the radiation visualization module is developed. Finally, on the basis of the obtained results from the Digital Mock-up and other important factors, the evaluating method of the scenarios that can indicate the best scenario is described.

목차
Abstract   요약   I. 서론   II. Dismantling Digital Mockup System Overview   III. 3D Modeling and Virtual Reality   IV. 3D Radiation Visualization   V. Dismantling Scenario EvaluationModule    1. Schedule Simulation of the Scenarios    2. Calculation of Waste    3. Estimation of Decommissioning Cost    4. Evaluation of Workers' Exposure    5. Evaluation of Scenarios   VI. Conclusion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
  • Sung Kyun Kim(한국원자력연구소) | 김성균
  • Hee Sung Park(한국원자력연구소) | 박희성
  • Kune-Woo Lee(한국원자력연구소) | 이근우
  • Chong-Hun Jung(한국원자력연구소) | 정종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