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긴털이리응애의 점박이응애에 대한 기능반응 : 피식자 밀도, 분포 및 면적크기의 영향 KCI 등재

Functional Response of Amblyseius longispinosus (Acari: Phytoseiidae) to Tetranychus urticae (Acari: Tetranychida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94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ncae)의 알밀도(10~80), 공간분포〈집중 빛 균일분포) 및 서석면적크기 (3, 9, 16 )에 따른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longispinosus)의 가능반응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긴털이리웅애의 점박이응애 발견효율은 밀도와 공간분포의 영향을 받았으나, 면적의 영향은 없었다. 포식량과 피식자간의 거리와는 매우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강.85, p=0.0001). 포식반응은 제2형의 기능반응을 보였다. 긴털이리응애의 기능반응은 random predator equation으로 잘 설명되었으며, 탐색률은 피식자의 집중분포하에서 반응면적에 따라 0.1030 - 0.1504였고 균일분포하에서는 0.0546~0.0276였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the functional response of Amblyseius longispinosus Evans to egg densities (10-80) of Tetranychus urtica Koch under different egg distributions (clumped & uniform) and arena sizes (3, 9 & 16 ). The searching success of A. longispinosus was affected by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he prey but not by the arena size.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0.85, p=0.0001) between predation amount and distances between preys. The predation response showed a type III functional response. The random predator equation satisfactorily described A. longispinosus predation. The search rate ranged from 0.1030 to 0.1504 under distribution of the prey while it ranged from 0.0546 to 0.276 under uniform distribution.

저자
  • Dong-Soon Kim
  • Joon-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