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영산강, 섬진강, 한강 하구역의 에머지 평가 KCI 등재

Emergy Evaluation of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in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322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에머지 개념을 이용하여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활동을 평가하고 하구역 관리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의 자연환경과 사회경제활동에 대한 에머지 평가는 대형 하천이 유입하는 환경적 특성과 주변 지역의 사회경제활동 중심으로 기능하는 경제적 특성 등 이들 하구역의 특성을 잘 보여주었다. 각 하구역으로 유입하는 주요 자연환경 에머지는 하천, 조석, 강수 등 이었다. 그러나 이들 재생가능에머지가 세 하구역의 전체 에머지 유입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8% 미만으로 아주 적었다. 이에 비해 하구역의 외부에서 구입하여 지역경제에 투입하는 에머지의 비율은 92~98%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단위면적당 에머지사용량, 인구수용력, 환경부하비율, 에머지지속성지수 등 다양한 에머지 지수가 현재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한강하구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경제활동의 지속성이 아주 낮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영산강하구역, 섬진강하구역, 낙동강하구역의 자연환경이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는 729~2,206만 Em/ha/yr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인데, 하구역의 자연환경이 가지고 있는 생태경제적 중요성을 반영한다. 따라서 각 하구역이 가지고 있는 생태적 경제적 잠재력을 유지하고 회복하기 위한 하구환경관리정책의 수립 시행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인구 및 경제 집중의 완화, 하구의 환경수용력을 고려한 이용 개발 등 하구환경에 압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한 수요조절 측면의 정책과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 인공생태계의 조성 등 생태계의 구조와기능을 회복하여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를 증가시키는 공급조절 측면의 두 가지 방향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An emergy concept was us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 and economy of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in Korea. The emergy evaluations clearly showed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stuarine areas that act as ecological and economic centers of surrounding areas. River, tide, and rain provided most of the renewable emergy inputs to the estuarine areas with their contribution to the total emergy input less than 8%. The estuarine areas mostly relied for their operation on the purchased emergy which accounted for 92~98% of the total emergy input to the systems. Emergy indices such as emergy use per unit area, population carrying capacity, environmental loading ratio, and emergy sustainability index revealed that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are not sustainable at the current level of economic activities in the areas. The ecological economic values of the environment of the areas were in the range of 7.29~22.06 million Em/ha/yr. They are more than twice that for the whole country, indicating the ecological and economic importance of the eatuarine areas. It is, therefore, urge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estuarine management policies to protect and restore the ecological and economic potentials of the estuarine areas of Yeongsan River, Seomjin River, and Han River. Management plans for the estuarine areas should include both demand-side measures such as reduction of population and economic concentration and consideration of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planning stages for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reas, and supply-side ones such as restoration of degraded ecosystems and construction of new productive ecosystems.

저자
  • 이창희 | Lee, Chang-Hee
  • 강대석 | Kang, Dae-Se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