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漢文1 교과서의 多文化 수용 양상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Receptivity Modes of Multi-Cultures Reflected in the Middle School Chinese Classics Texts I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a of 2007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한문1 교과서의 다문화 수용 양상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54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최근 한국 사회는 외국인 노동자, 결혼 이민자 등의 流入으로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轉移되어 가고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까지 우리교육은 전통문화를 고수하는 교육에 중점을 두어 왔다. 특히 한문과 교 육은 전통문화의 고수에 중심을 두었기 때문에 타문화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부 족하였다. 다문화 교육이란 세계화 시대에 따른 다양한 문화, 인종, 사회에 속한 집단들이 각기 자신의 고유 언어와 문화를 지키면서 주류사회와 공존하며 사회에 다양한 기여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타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는 교육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 다문화교육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국제이해 교육과 세계시민 교육의 중요성이 제기 되었으며, 이후 2007년 개정 교육과 정에서 다문화 교육이 全敎科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었다. 한문과 교육에서의 다문화 교육의 準據는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한문과 교육 목표 가운데, “한자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닌다.”는 漢字 를 매개로 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되어 검정에 통과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한문교과서는 15종이다. 이들 15종의 교과서는 다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原典자료의 부족과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수용하여야 하는 어려움으로 인하여 본문의 영역에서 반영한 교과서는 1종도 없으며, 보충학습 자 료나 삽화 등으로 다문화의 내용을 수용하고 있다. 내용은 설날과 같은 명절의 명칭과 別食의 비교(6종), 한․중․일의 의․식․ 주 문화 비교(5종), 한․중․일의 한자형태 비교(4종), 속담에 대한 비교(3종), 공 부에 대한 의미 비교(2종), 형제자매의 발음비교(1종) 등이 있다. 오늘날과 같은 다민족․다문화 사회에서는 다문화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 문과 교육은 ‘仁’과 같은 사랑과 관용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다문화 교 육에 유용한 교과이므로 앞으로 집필할 2009년 개정 한문 교과서에는 이를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最近韩国社会由外国人移住劳动人的流入和, 由国际结婚流入的结婚移民者, 多文化子女等现在我们的社会快速的变成多人种‧多文化的社会, 所以我们需要理解和宽容多文化教育. 但到现在我们的教育还是死守传统文化为中心. 特别是汉文科教育死守传统文化为中心, 尽管确定知道要理解其他文化的教育目的,但我们的关心和理解他文化还不足. 我国从第七次教育课程开始关心多文化教育. 第七次教育课程提起国际理解教育和世界市民教育的重要性后理解其他国家的文化多样性, 后来2007年改定教育课程里正式反映多文化教育. 汉文科教育里多文化教育依据能找在2007年的改定汉文科教育课程。汉文科教育目的中, “使汉字文化的基础知识后, 对汉字文化权里的相互理解和交流增进具有奉献的态度.” 这意思是把汉字做成媒体然后进行多文化教育的意思. 2007年随着改正的教育过程, 执笔后通过检定的, 正在使用于初中一年级的汉文教科书有十五种.这十五种教科书是贯注努力的用多样的方式来反映多文化, 但是多文化的原典资料很缺少还有很难修养初中专用的九百个汉字所以一种也没有本文的领域里反映的教科书. 用补充实习资料或插曲等修养多文化的内容. 内容为有关于春节等节日的名称和别食的比较(六种), 韩‧中‧日的衣‧食‧主文化的比较(五种), 韩‧中‧日汉字形态的比较(四种)关于俗谈的比较(三种), 对于学习的意思比较(两种), 兄弟姐妹的比较等. 在现代的多民族‧多文化社会里,需要多文化的教育, 多文化的教育是文化的相 对主义的关点来理解文化的差别, 教育的重点放在承认其他文化的价值.汉文和 教育是依托像'仁'一样的爱和宽容的精神, 有用于多文化教育的教科, 所以我们积极反映于要执笔的2009年改正的汉文教科书里.

Our society is changing rapidly to a multicultural society, but if we disrespect migrant workers, married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ho came from foreign countries and have been incorporated as our society members, only because of their different skin color, appearance and language and treat their culture with prejudice, such racial discrimination will cause cultural conflicts and undermine the stability of Korea society. In order for them to be the true members of our society, we need to give much consideration not only to national policies but also to social consensus and school education for minimizing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flicts. Traditional culture defines the order and sentiment of life in the group members, and gives a sense of belonging to the community so that the members have identity. These days, however, it has an expanded meaning, that is, respecting the originality of minority cultures and pursuing the coexistence of such cultures in the native culture of the mainstream society. In this way,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concept based on diversity and pluralism as well as on democracy, equality, human rights, social justice, etc. It was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at Korea began to take interest in multicultural education. Later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flected multicultural education in all the subjects. That is, the Generals of the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uggest multicultural education as one of 35 interdisciplinary themes of learning, and furthermore, direct that it should b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Through its Study on Teaching‐Learning Suppor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suggested the objectiv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follows: first,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s and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second, to develop toleranc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ve native culture as well as other cultures and the attitude of contributing to the recreation of culture; and third, to promote a sense of community, th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 peaceful settlement of conflicts, cooperative attitude,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ocial justic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in addition, it proposed programs: first,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other cultures; second, to understand the own traditional culture; and third, to promote international understanding. Co‐prosperity of mankind is impossible without overcoming nationalism, which gives the top priority to the superiority and benefits of my own country. That is, the true co‐prosperity of mankind is possible only when we acknowledge and respect differences in history, culture, religion, language and customs between my people and oth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ducate people required in the age of globalization, even the edu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concentrate on raising global citizens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목차
Ⅰ. 緖論
Ⅱ. 多文化 사회에서의 多文化 敎育
Ⅲ. 漢文科 교육에서의 多文化 敎育
Ⅳ. 漢文1 교과서의 多文化 수용양상
Ⅴ. 結論
저자
  • 李東宰(國立公州大學校漢文敎育科敎授) | 이동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