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중대형 인공호에서 외래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의 분포 특성 및 서식지의 이화학적 수질 KCI 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s an Exotic Species, in Some Medium-to-Large Size Korean Reservoirs an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the Habita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6888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1년 우리나라 10개의 중대형 인공호에서 배스의 우점도에 의한 외래종 영향 및 이에 대 한 어류 군집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들이 출현하는 호수에 대한 이화학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10개 인공호에서 출현한 어류는 13과 52종이었으며, 배스의 상대 풍부도는 전체 어종들 중 13%를 차지하여, 출현한 어류들 중 3번째로 높게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향후 배스가 수체내에서 최상위 포식자로서의 포식압 및 생태적 지위 특성 때문에 많은 인공호들에서는 본 배스의 외래종 번성에 의한 생태계 교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전체 조사 대상 인공호들 중 평택호에서 배스의 상대 풍부도는 6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대청호에서 풍부도는 3%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스 서식지에 대한 이∙화학적 수질분석 결과에 따르면, COD는 평균 4.5±2.5 mg L-1 였고, 총인 (TP) 농도는 0.058±0.047 mg L-1, 총질소 (TN)는 2.2±1.4 mg L-1로 나타났다. 인(P)과 질소(N) 의 농도 분석에 따르면, 평택호, 낙동강하구언, 주남저수지 등의 수체는 부영양화 현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스의 상대풍부도와 수질자료의 비교분석에 따르면, 두 변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 (p.0.05)를 보이지 않았다. 즉, 배스의 분포 및 풍부도 특성은 이 화학적 수질도 중요하겠지만, 이들보다는 여러 타 요인들, 즉, 물리적 서식지 특성, 이용 가능한 먹이양 및 경쟁생물의 밀도 등에 의해 더 영향 받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gemouth bassas an exotic species in relation to water chemi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in 10 reservoirs in Korea thatshowed different properties in size, location and eutrophic state. Total number of fish species observed in theartificial reservoirs was 52(13 family) and the relative abundance of the bass was 13% of the total, which isthe third dominant species in the whole sample. The relative abundance of bass was the highest in thePyungtak reservoir(60%), whereas the Daechung reservoir showed the lowest abundance(only 3%). Althoughno significance difference statistically were found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s abundance and waterquality parameters. The reservoir trophic state showed some relationships. As result, the higher abundance wasobserved in hypertrophic reservoirs that located in the esturine regions compared to other large and mediumreservoirs classified as meso-or eutrphic state. In conclusion, bass distribution in the reservoir ecosystem cannot be directly explained by water chemistry only but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저자
  • 김현맥(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Kim, Hyun-Mac
  • 길지현(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연구팀) | Ji-Hyon Kil
  • 이의행(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Eui-Haeng Lee
  • 안광국(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Kwang-Guk A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