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부지역 돌대문토기의 편년 연구 KCI 등재

A Chronological Study on the Bronze Age of Doldaemun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310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이 논문은 중부지역 돌대문토기의 속성과 시간적 범위를 통한 편년연구이다. 중부지역 돌대문토기의 제작방법과 형태, 그리고 공반양상에 대한 검토결과 1ㆍ2ㆍ3단계의 단계별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다만, 1단계의 경우 돌대의 부착위치에 따른 시간성과 유물들의 공반양상에 있어서 약하게 시간적인 흐름이 나타나고 있을 뿐 아직까지는 해당시기의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다수의 유적들이 2단계의동일한 시간적 범위안에 밀집되고 있는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미사리유적을 논외로 하더라도 중부지역의 대부분 돌대문토기는 2단계에 위치하며, 공반관계상 청동기시대조기의 후반에 해당한다. 3단계에서는 주변의 다양한 토기문화유형과의 接變現像이 관찰되는데 구순외연각목토기ㆍ외반구연 공렬토기의 증가, 토기문양의 혼합(공렬, 구순각목 공반), 가락동계 이중구연토기의 점유율 증가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고 있어 돌대문토기가 청동기시대 전기의 전반까지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결국, 중부지역에서 확인되는 돌대문토기의 시기를 설정함에 있어 전ㆍ후반을 구분할 만큼 뚜렷한근거는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토기뿐만 아니라 석기 및 주거지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도 명확한시기구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시간성이 확인되는 토기의 속성과 공반유물의 양상을 근거로 현재까지 확인된 중부지역 돌대문토기는 조기 후반의 양상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전기 중반을넘지 않는 시기에는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되어진 다양한 토기문화 속에 쇠락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temporal attributes and scopes of Doldaemun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manufacturing methods, forms, andexcavation patterns of Doldaemun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and found that it went throughchanges over three stages. However, there are no definite grounds to demonstrate timedifferences between Stage 1 and 2 just with temporality according to the attachment locations ofDoldae and a faint time flow in the excavation patterns of artifacts. Rather, there is a pattern ofconcentration within the same temporal scope. Even excluding the Misari site from thediscussion, it is clear that most of Doldaemun pottery in the central region belongs to the latterhalf of the early stage of Bronze Age. Acculturation with the various types of pottery culture inthe surrounding areas is observed in Stage 3,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appearance of potterywith notched strip on outside rim(구순외연각목토기) and the increasing share of Garakdong stylepottery with double mouth rim(가락동계 이중구연토기) in which different pottery patterns aremixed together. The stage lasted till the former half of the first term of Bronze Age. In the end, there is no clear enough ground to determine the former and latter half of theDoldaemun pottery period in the central region. There is no clear period distinction in theresearches on stone tools and sites of houses, either. It has been found based on the attributesof pottery whose temporality is checked and the excavated artifacts that the Doldaemun potteryso far confirmed in the central region belonged to the latter half of the early stage and deterioratedin the diverse pottery cultures already spread all over the nation by the middle of the first term.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중부지역 돌대문토기 분석
  1. 돌대각목문토기
  2. 절상돌대문토기(절상각목돌대/절상돌대)
  3. 유상돌대문토기11)
 Ⅲ. 외반구연 무문토기 및 공반유물
 Ⅳ. 단계설정 및 편년
 Ⅴ.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요약
저자
  • 정원철(강원문화재연구소) | Jeong Won-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