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중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에 대한 인지경로 모형 개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Path Model on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among Elementary・Secondary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796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에서는 초․중등교사들의 TPACK 함양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하여 TPACK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경로를 분석하고, TPACK 요소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 이를 위해 TPACK에 대한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도록 기존의 측정도구를 번안하고, 평가관련 문항을 새롭게 추가하여 초 중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7개 요인 41개의 문항이 7개 요인 36개의 문항으로 재구성될 수 있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탐색된 TPACK 모델의 신뢰도와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 등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가설에 기반하여 구조방정식모델을 구성할 수 있었는데, 이 모델을 통해 TPACK을 구성하는 요인들간의 인과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초 중등교사들의 경우, PK와 CK는 PCK에, TK와 PK는 TPK에, TK와 CK는 TCK에, PK, TPK, TCK는 TPACK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K, CK, PCK는 TPACK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TPACK 함양을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이나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analyzed the recognition path on TPACK of the elementary・secondary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TPACK to establish a strategy for cultivating teachers’ knowledge on the technology. In order to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after translating the existing framework to be able to measure the teachers' self-efficacy for TPACK and adding the new questions related to the assessment, and then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ramework consisting of 7 factors with 41 ques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was reconstructed as one consisting of 7 factors with 36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TPACK framework were verified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build on the hypothesis and it provided good evidence that depicts clearly how the various factors of knowledge contribute to the key construct of TPACK in predominantly teachers. For example, PK & 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CK. TK & P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PK. TK & P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PK. TK & 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CK. PK, TPK, & TCK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PACK. However, TK, CK, & PCK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PACK. Findings were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establishing strategies for fostering teachers’ TPACK.

목차
<< 요 약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설문 대상 및 자료 수집
  2. 검사 도구
  3. 자료 분석
  4. 연구 가설
 Ⅲ. 결과 및 논의
  1. 확인적 요인분석
  2. 구조회귀모형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박기철(한국교원대학교) | Park, Ki-Cheol
  • 강성주(한국교원대학교) | Seong-Joo, Ka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