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로 정치인』에 드러난 엘리엇의 정치의식: 심리학적 관점 KCI 등재

“T. S Eliot’s Political Posture as Found in The Elder Statesman: A Psychological View.”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07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T.S.엘리엇연구 (Journal of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한국T.S.엘리엇학회 (The T. S. Eliot Society Of Korea)
초록

이글은 기독교에 토대를 둔 엘리엇의 정치적 입장이 제3세계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라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시극 ��원로 정치인��에는 이 같은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 먼저 극의 등장인물들은 중미에 위치한 국가인 산마르크 공화국을 영국이나 유럽에 비해서 매우 무질서하고 타락한 곳으로 치부하며 거기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폄하를 노정하고 있다. 이처럼 세3세계의 국가는 당시 많은 문제를 노출했던 유럽인들에게 집단적인 그림자로서 작용했으며 엘리엇도 그에 동참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 극의 주인공을 비롯한 남자 등장인물들은 예외 없이 여성과의 조화롭고 결실을 맺는 관계에 실패하고 있다. 엘리엇의 전기를 반영하는 듯한 이 특징은 배우자 원형, 즉 아니마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특징은 정치적으로는 어머니원형이 지배하는 단계, 즉 권위에 복종하고 타자의 가치에 제한을 두고자하는 보수적 성향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원로 정치인��은 작가가 의도한 원만하고 이상적인 삶의 정리가 아닌 작가와 주인공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와 그와 관련된 제3세계인으로서 인정하기 어려운 정치적 태도를 담고 있다 하겠다.

Initially this writing was motivated by Professor Robert Grotjohn’s response to my writing on T. S. Eliot’s Four Quartets and John Ashbery’s “Self-Portrait in a Convex Mirror.” He objects that Christianity is not to blame for being a helping hand for the imperialistic expansion and exploitation in the previous centuries. I would agree with him religiously but we need to call attention to their societal functions in dealing with long-time established institutions like Christianity. Christianity cannot have opposed the collective interest of the society it belonged to, especially in its critical moments. It may also be pointed out that Christianity has imposed its metaphysical and hierarchical views and values on its subjects, naturally crippling rational reasonings and persecuting non-followers in most vehement forms and scales. Likewise, the salvation or maturity the protagonist of The Elder Statesman has allegedly reached leaves many problematic issues, seen from psychological and feministic perspectives. Eliot attempts rather a sudden resolution to the tension accumulated up until the near end of the drama. The protagonist in the drama faces a peaceful and justifiable final phase of his life. But a psychological approach would not lead to an identical conclusion. His reconciliation and expiation appear only as superficial or even hypocritical; he does not recognize friendship and love in a psychologically convincing way. His justification for his faults in youth is hard to agree to and he fails to recognize his own dark side of existence and integrate feminine elements in his psyche. Jungians would take this failure as deviation from the course leading to the psychological maturity, individuation.

목차
Abstract
 1. 들어가며
 2. 보수주의 개념의 점검
 3. 중심, 주변 그리고 그림자
 4. 여성, 어머니 그리고 아니마
 4. 나가며
 Works Cited
 국문초록
저자
  • 조병화(거제대학교) | JOH Byung-H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