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위험사회의 정보유포 매체와 세계시민사회 : 재난영화, 재난보도, 디지털매체

Information Spreading Media of the Risk Society and the World Civil Society: Disaster Movies, Disaster Broadcasting, and the Digital Medi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695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강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Kangnam University)
초록

루만에 의하면 현대사회에서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체는 두 가지이다. 정보를 유포하는 매체와 일반화된 상징적 소통매체(또는 성공매체)가 그 것들이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유포 매체를 중심으로 재난의 위험과 세계 시민사회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근대 시민사회의 발현을 가능하게 했 던 정보유포 매체는 활자매체라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전자매체 특히 디지털매체의 사회구성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 논문에서는 벡, 루만, 하이어의 관점을 비교하면서, 현대 사회에서 시민 주체의 형성과 관련하여 디지털매체의 중요성이 일방적으 로 강조되는 경향을 비판하고자 한다. 특히 세월호 참사와 관련하여 한국 사회에서 디지털매체뿐만 아니라 전자 대중매체의 역할이 새롭게 확인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즉 언론통제 상황에서도 TV 전자매체가 전혀 의도하 지 못한 상태에서 불러일으키는 사회적 감정의 효과를 강조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Luhmann, there are two sorts of communication media in modern society: the information spreading media and the generalized symbolic (or success) media of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 focus on the former and argue on the relation between dangers of a disaster and a construction of a world civil society. The print media contributed basically to the emergence of the modern society in the West. But nowadays it seems to be unclear which sort of the electronic media is more essential to the construction of a contemporary world society. I think that in this respect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has been overestimated.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Sewol ferry disaster, I would argue that the TV broadcasting had an unintended effect of evoking civil moral affections in Korea.

저자
  • 홍찬숙(서울대학교 여성연구소) | Hong, Chan-S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