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미국교회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와 적용양태 KCI 등재

The Theological Basics of Missional Church and Its Practices in USA Protestant Church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8205
  • DOIhttps://doi.org/10.14493/ksoms.2015.1.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
한국선교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초록

북미 교회에서 현대의 교회론에 관한 담론 중에 ‘선교적 교회’가 일종의 구호가 되어버렸는데, 한국 교회에도 점진적으로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선교적 교회의 신학담론은 많이 제시되고 있지 만, 그 실천 양상에 대해서는 논의가 더욱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론의 신학적 기초와 미국교회에서 선교적 교회가 실천적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양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것은 미국에서 선교적 교회론은 과거의 선교적/ 교회론적 담론을 계승할 뿐 아니라 심화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그 실천은 여전히 진행형이지만 다양하게 적용되는 양태를 보이고 있다. 실천양태를 통해 이원론적 접근방식의 극복과 균형진 문화적 적절성, 인식학적 겸손의 강조, 예수의 삶과 예수의 가르침에 대한 균형 잡힌 숙고, 성육신적 실천과 기하급수적 성장 사이의 균형이 필요함을 제시 했다. 선교적인 함의로는 한국교회에 대한 분석에 앞서 한국 사회에 대한 선교사회학적 분석이 필요하며 네트워크화한 집단논의를 통하여 선교적 교회 지표에 대한 합의가 필요함을 제시했다. 이런 지표들이 설정된다면 선교적 교회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론과 실천이 한 방향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작용하여야 한다. 이는 이론을 실천하는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보완된 신학 적 이론이 새로운 실천되도록 하는 순환구조를 의미한다. 그런 순환구 조와 다양한 적용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은 실천가들이 전통적인 교회론적 가치들을 선교적 교회 신학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창조적으 로 새로운 적용을 하도록 만들 것이다. 선교적 교회론은 여전히 종말론 적인 목표를 지향하고 있는 순례과정이기 때문이다.

In contemporary discussions on ecclesiology, the word ‘missional church’ has become a slogan and code word especially in the North American and it has influenced Korean protestant churches. Although there are theories and some indicators for what the genuine Missional Church is, its typology is lacking. Thus, this paper analyzes the theological foundation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he patterns of its application in the USA.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theological theories of Missional Church are still in progress and their applications show diverse tendencies in the USA. In the process of its praxis, overcoming dichotomy, balanced, interactive approach to culture, seeking epistemological humility, emphasis on Jesus’ teachings as well as His life, and balance between the incarnational praxis and exponential growth are introduced. As its missiological implications,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social-missi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society needs to be surveyed before the analyses on the problems of Korean churches. It also is suggested that some indicators on the identity of Korean Missional Church need to be developed by networking discussions. These indicators will function as guiding posts for the churches which will engage in the Missional Church movement. In this process, theory and practice should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means establishing a cycle which newly framed theological theories would be newly practiced, with ongoing monitoring the process and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such theories. This process will motivate the practitioners to reinterpret, deepen, and practice creatively the theology of Missional Church. This is because the Missional Church theory is still a pilgrimage to the eschatological achievement.

저자
  • 김성익(삼육대학교) | Sung Ik Kim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