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에서 콘텐츠요인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Game Contents on User's Intention of Use in Mobile Social Network Gam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891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공적인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SNG)을 제작하기 위해 게임의 세부 콘텐츠를 어떤 목적으로 제작해야 하고 어떤 부분에 보다 많이 집중하여 제작해야 하는가에 대 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모바일 SNG의 제작목적을 지속적 사용의도의 향상으로 설 정하였으며, 선행연구에서 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실증된 요인들 중 몰입,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경쟁, 보상의 요인을 선별하였다. 최종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효능감, 경쟁, 보상에 관련된 사용자 경험의 향상을 모바일 SNG 세부 콘텐츠의 제작목표로 설정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강원도의 한 대학교에서 모바일 SNG 사용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3주간 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총 244부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 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이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로 자기효능감, 보상, 경쟁, 사회적 상호작 용에 관련된 사용자 경험의 향상을 목표로 하는 콘텐츠들이 모두 지속적 사용의도의 향상에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과 그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guideline for direction of content design and resource allocation to make mobile social network game (mobile SNG) production more efficient. We assumed that commercial purpose of mobile SNG is to improve uses' intention of use of the game, and from previous researches we selected flow, social interaction, self efficacy, competition, and reward as the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use. Finally, improvement of user experiences related to social interaction, self efficacy, competition, and reward is considered as the purpose of the mobile SNG contents. We surveyed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 South Korea who have used mobile SNG. It took 3 weeks and 244 survey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ethod for analysis was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As a result, we found that the user experiences related to self efficacy, reward, competition, social interaction provided by SNG contents are a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user's intention of use and weighe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소셜네트워크 게임
  2.2 사회적 상호작용 (Social Interaction)
  2.3 보상 (Reward)
  2.4 자기효능감 (Self-Efficacy)
  2.5 경쟁 (Competition)
  2.6 몰입 (Flow)
  2.7 지속적 사용의도 (Intention of use)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4.1 연구 설계
  4.2 변인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5. 연구결과
  5.1 표본의 일반적 특성
  5.2 요인분석
  5.3 변인간 상관관계
  5.4 연구문제 검증결과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이한호(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Han-ho Lee Corresponding author
  • 김시성(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Si-Sung Kim
  • 이민섭(한림대학교 인터랙션디자인전공) | Min-Seop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