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료에 대한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 KCI 등재

The Effects of Co-workers Trust on Group Performance -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Moderating Role of Task Interdependence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0847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5.22.1.1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불확실성이 증대된 현대의 치열한 경영환경에서는 과업의 복잡성 정도가 높아짐에 따라 과업 간의 상 호의존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과업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조직구성원들은 공식적, 비공식적 방법으로 상호의존적 관계를 형성하며 효율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상시적으로 학습하고 새로운 관점을 통합하는 노력을 통해 증대된 복잡성, 불확실성, 상호의존성에 대응하고 있다. 이처럼 구성원들의 자발적이고 개방 적인 커뮤니케이션, 협동, 공유, 조정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동시에 집단 활용의 필요성 및 사회적 관계 작동의 핵심적 요인으로서 신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료들 간의 신뢰가 집단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집단지성이 매개효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 펴볼 것이다. 또한 신뢰와 집단지성의 관계에 있어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연구해 보 고자 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에 대한 신뢰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는 모두 집단지성의 하위요인인 협력지성,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는 모두 집단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력지성, 지식공유는 인지적 신뢰와 정서적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과업상호의존성은 동료에 대한 신뢰와 집단지성의 관계를 일부 조절하고 있음을 확인하 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시사점 및 연구한계,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Highly uncertain management environment leads to complexity and interdependence of task. Therefore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 interdependent relation, as well as communication, cooperation, sharing, and coordination are regarded important quality. Especially trust is considered as a key factor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rust has an impact on group performance, and collective intelligenc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rust and group performance. Also, we verified a hypothesis of an moderating effect of task interdependence between trust and collective intelligence. For an empirical test, we conducted an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argeting 313 employees in Chin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wo different forms of trust among coworkers, cognitive trust and emotional trust have an positive influence on two collective intelligence(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knowledge sharing). Second,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were positively related to group performance. Third, collaborative intelligence and knowledge sharing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two types of trust and group performance. Fourth, task interdependence moderates part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s trust and collective intelligence. Based on these empirical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동료에 대한 신뢰
  2. 집단지성
  3. 집단성과
  4. 과업상호의존성
 Ⅲ.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1. 동료에 대한 신뢰와 집단지성
  동료에 대한 신뢰와 집단성과
  3. 집단지성의 매개효과
  4. 과업상호의존성의 조절효과
 Ⅳ. 실증연구
  1. 연구대상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
  4. 상관관계 분석
  5. 가설검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최수형(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부교수) | Choi, Su Heyong
  • 강희경(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박사) | Kang, Hee Kyung 교신저자
  • 안나(부산대학교 경영학과 박사과정) | An,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