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번트 리더십이 군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해병부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Research on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Focused on Marines Corps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0854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5.22.1.29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최근 계속되는 군 내부 하부조직에서 발생되는 불화와 가혹행위 등의 사건들로 각 군의 군대문화 체질 개선과 방지를 통한 군 이미지 개선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부각되고 있다. 특히, 군 하부조직 차원에서 군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중간관리자인 부사관들의 리더십에 대한 관심 또한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사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군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관계와 리더 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군 조직 특성에 적용 가능한 서번트 리더십을 기초로 부사관의 신뢰를 통해 조직효과성을 극대 화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의 표본은 경기도 소재 해병대에 근무하고 있는 부 사관 및 병사들을 대상으로 총 529개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로는, 첫째, 서번트 리더십의 하위변수 중 성장지원, 비전 제시는 직무만족에 대한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에 청지기 정 신, 공동체 형성은 그렇지 않았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 하위변수 중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비전 제시는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섯째, 리더 신뢰는 서번트 리더십과 군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군 조직에서도 일반사회에서 인정받는 서 번트 리더십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하였으며, 중요한 결과는 군 조직 차원에서 중간관리자 인 부사관의 서번트 리더십과 군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더불어 부사관의 리더신뢰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군조직의 조직유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서번트형 중 간관리자의 필요성 대두, 역할 제고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가진 다고 볼 수 있다.

With recent series of military incidents, extra attention is focused on the leadership of noncommissioned officers, which are the middle manag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mmissioned officers’ servant leadership and military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ediating effect of leader trust. Study sample was among the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excluding commissioned officers, of Marines located in Gyeonggi-do, and total 52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growth support and vision presentation showed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stewardship and community formation did not. Second, among the sub-variables of servant leadership, stewardship, growth support, and vision presentation showed positive effect. Third, leader trust played a mediating role i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ncommissioned officer’s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s furthermore significant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of servant-type middle managers in military organizations by studying the role of leader trus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군 조직의 특성과 부사관의 역할
  2. 서번트 리더십
  3. 군 조직에서의 서번트 리더십
  4. 리더 신뢰
  5. 직무 만족
  6. 조직 몰입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 연구 모형
  2. 연구 가설
 Ⅳ. 연구방법
  1. 변수의 측정
  2. 연구대상
 Ⅴ. 분석결과
  1. 타당도과 신뢰성
  2. 잠재변수간의 상관관계
  3. 가설 검증
  4. 매개 효과 검증
 Ⅵ. 결론 및 토의
  1. 연구결과의 요약 및 해석
  2.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박승범(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융합산업학과 벤처경영학 박사 과정) | Park, Seung Beum
  • 박현숙(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융합산업학과 교수,) | Park, Hyeon Su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