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각키움 프로그램 자유학기제 수업방법 개선을 통한 창의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 KCI 등재

A Study on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Self-Esteem Through Teaching Methods on 'Thinksmart Program' of Free-Semest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7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을 통하여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창의력과 자
기관리 능력의 기본인 자아존중감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1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주 5시간 국어 시간을 4시간은 국어수업, 1시간은 독서시간으로 운영하였다. 국어시간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바탕으로 한‘생각키움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창의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였고, 독서시간은 ‘키움 4단계 독서 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하였다.연구 결과 ‘생각키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논리적 표현력 등을 포함한 창의력이 향상되었다. ‘키움 4단계 독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자신을 삶을 생산적으로 가꾸어갈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creativity and basic self-care ability to
pro-actively prepare for the future social and characters through teaching method on
student-centered. Language classes were taught targeting First-year 89 students. Language class was the purpose of invention extension applying 'Thinksmart program' on the basis of improved variety of thinking skills. Reading class was operated to purpose of improving self-esteem applying 'Kiwoom 4steps reading program'. Creativity including study of the imagination, empathy, integrativethinking, divergent thinking, the logical expression of students has been improved through 'Thinksmart program.' Self-esteem has been improved through 'Kiwoom program.'

목차
요 약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의 문제
  4. 용어의 정의
   가. 생각키움 프로그램
   나. 키움 4단계 독서프로그램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기간
  2. 사전 실태조사
  3. 연구 실행 목표
 Ⅲ. 연구실천
  1. 실행 목표 1의 실천
  2. 실행 목표 2의 실천
   가. 학생활동중심 ‘생각키움 프로그램’구안
   나. 학생활동중심 ‘생각키움 프로그램’적용
    1) 스토리텔링으로 상상력 키우기
    2) 융합수업으로 통합적 사고력 키우기
    3) 마인드맵으로 확산적 사고력 키우기
    4) 협동수업으로 공감능력 키우기
    5) 프로젝트수업으로 단계적 사고력 키우기
    6) 토의·토론수업으로 비판적 사고력 키우기
  3. 실행 목표 3의 실천
 Ⅳ. 연구결과
  1. 연구 결과의 검증 내용 및 방법
  2. 연구의 결과
   가. 설문 결과
    1) 국어과목 흥미도
    2) 국어학습 능력
    3) 창의적 사고력
    4) 창의적 표현력
    5) 자아존중감 긍정적 척도
    6) 자아존중감 부정적 척도
    7) 독후활동 관련 설문
   나. 수업활동지, 관찰평가, 학생소감문, 수업일지를 통한 검증
    1) 수업활동지 통한 검증
    2) 관찰평가를 통한 검증
    3) 독서활동 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 수(서울윤중 중학교) | Sue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