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공기관 구성원의 교육과 역량 인식에 관한 질적 사례분석 KCI 등재

A Case Analysis on the Public Institute Member's Perceptions of Education and Competency Based on the Science of Erudition Viewp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9876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이 연구는 공공기관의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과 역량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서 그들의 인식
정도가 조직의 배움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교육과 역량에 대한인식을 배움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봄으로써 향후 기타공공기관의 교육과 역량 수준을 설정하는데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조직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교육과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의 틀은 성인의 배움수준 요인, 즉, 의미생성력, 자기주도력, 실천력, 개조력, 공동배움력의 다섯 요인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의 하나인 외교통상부 산하 A기관을 대상으로 총 10명의 질적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에 대한 구성원들의 의미생성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에 대한 직원과 경영진 사이의 신뢰가 서로 부족함을 나타냈다. 둘째, 조직은 공동배움력, 특히 소통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에서는 실천력이 중요한 역량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 구성원들이 지닌 배움의 욕구를 만족시켜줌으로써, 직무와 과업에 대한 의미를 생성하고, 조직 내 동료들과 소통하며 조직의 목표를 실천해 나갈 때, 조직은 보다 더 강력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ducation and the competency between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 and human being learning in their innate ability to learn. The human being learning in their innate ability was called to erudition. The desire to erudition was rooted in human nature, this is the philosophy of the science of erudition. Whole concept of erudition focused on their seeking meanings of erudition while they were learning it. The activities of erudition of humans were quite complicate and also entirely different with anything else. When these activities, including the learning and competency, were being held it influenced by bunch of factors. The factors were defined with five areas which were related with level of erudition: a generative meaning ability, a self-directed ability, a practical ability, a reformative ability, a cooperative erudition ability. The public institution member's education and competency were as follows: First, the public institution members were lack of a generative meaning ability. This was not sufficient of trust between management and employees. Second, the public institution regarded a cooperative erudition ability, especially understanding each other. Third, a practical ability w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in the public institution.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these three were regarded as core competencies to make organization learning and to be more competitiv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조직의 교육훈련과 역량개발
  2. 배움학 이론의 전개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Ⅳ. 연구 결과
 1. 교육에 대한 인식
  가. 신뢰
  나. 지식공유
 2. 역량에 대한 인식
  가. 소통
  나. 실천성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방재임(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 Jaeim Bah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