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흡연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사용자와 동일한 캐릭터의 사용이 실재감, 몰입, 위험인식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Character Identification on User Experience and Perceived Risk in Smoking Simulation G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13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한국게임학회 (Korea Game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사용자 본인과 동일한 실사 캐릭터의 사용과 제3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사용이 흡연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공간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몰입, 감정이입, 불안, 인지된 위험과 같은 요인들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플레이테스트 실험 방법론을 수행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해 '한림대학교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소'에서 저자들이 개발한 흡연 시뮬레이션 게임인 'Smoking Sims'을 사용하여 남자 흡연자 6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공간적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몰입, 감정이입과 함께 흡연에 대한 인지된 위험이 사용자 실사 캐릭터로 구성된 시뮬레이션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흡연예방과 같은 기능적 설득게임에서 사용자 본인과 동일한 캐릭터의 사용이 게임의 사용자경험은 물론 기능적 효과인 흡연위험에 대한 인식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게임 디자인에서 캐릭터 동일시의 중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user experience such as spatial presence, social presence, flow, empathy, anxiety, and perceived risk between simulating characters of animation and of actual userimage. The playtesting method was conducted on 60 male smokers using ‘Smoking Sims’, a simulation game produced by The Center for Health Communication Studies. The results found that the simulation of actual image character is higher in the level of perceived risks for smoking, spatial presence, social presence, flow, and empathy than the simulation of animation character. The study shows that identification with a game character affects user experience and enhances the effectiveness of perceived risks as well.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game design to implement identification in serious game like a smoking cessation simulation.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2.1 캐릭터 동일시(Identification)
  2.2 실재감(Presence)
  2.3 몰입(Flow)
  2.4 감정이입(Empathy)
  2.5 불안(Anxiety)
  2.6 인지된 위험(Perceived Risk)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및 실험참여자 특성
  3.2 실험방법
  3.3 변인의 측정
 4. 연구결과
  4.1 사용자 본인 실사 캐릭터와 애니메이션캐릭터간의 사용자경험 및 위험인식 분석
 5. 결론 및 논의
 ACKNOWLEDGMENTS
 REFERENCES
저자
  • 김시성(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 Si-Sung Kim
  • 이종욱(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 Jong-Wouk Lee
  • 노기영(한림대학교 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 | Ghee-Young Noh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