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효과: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수학 흥미 및 성취도를 중심으로 KCI 등재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on ethno-linguistic minority students’ academic enjoyment and performance: Evidence from TIMSS 2011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3760
  • DOIhttps://doi.org/10.14328/MES.2014.12.31.1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문화교육연구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한국다문화교육학회 (The Korean Associ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KAME))
초록

본 연구는 한 국가의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제도화가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에게 실제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TIMSS 2011의 8학년 수학 자료를 분석하였고, 31개 국가 154,169명의 학생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각 국가 내 위계선형모형과 국가 간 회귀모형을 결합한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 정책의 제도화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학업흥미 및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경향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전 세계적인 교육개혁의 흐름에서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다문화사회 친화적 교육과정이 실제로 민족·언어적 소수자 학생의 학교생활에 일정부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multicultural curriculum policies on ethno-linguistic minority students’ academic enjoyment and performance. Based on a sample of 154,169 students in 31 countries from the TIMSS 2011 eighth-grade mathematics dataset, a series of within-nation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es and subsequent cross-national regression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 multicultural curriculum policy in a country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ethno-linguistic minority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in terms of both academic enjoyment and performance.

저자
  • 함승환(한양대학교 교육학과 및 다문화교육학과 교수) | Ham, Seung-Hwan 제1저자
  • 차윤경(한양대학교 교육학과 및 다문화교육학과 교수) | Cha, Yun-Kyung 교신저자
  • 구하라(한양대학교) | Ku, Ha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