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예치료가 아동재활원 장애아동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ociality of Disabled Children in Rehabilitation Center for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나눠, 교사평가와 아동평가로 구분하여 사전·사후로 사회기술 평정체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아동의 사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군에서는 교사용 사회기술평정체계(SSRS)의 자기통제, 자기주장,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아동용 SSRS에서도 자기통제, 자기주장, 공감,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즉 원예치료 실시 전·후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3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4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원예치료 효과가 확실함을 알 수 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실험군의 두그룹을 비교한 결과, 통제군에 비해 실험군이 교사용 SSRS의 자기통제를 제외한 자기주장, 협동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아동용 SSRS에서는 자기주장과 공감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기통제와 협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통제군과 실험군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2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2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양호한 원예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켜 낮은 자신감과 사회성으로 기인된 부적응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사회성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on the sociality improvement of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by applying the multimodal social skills training including of both social active skills and social cognitive skills processes. For evaluation,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for children and teachers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categories such as self control, assertion and cooperation at SSRS for teachers, and also ha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categories at SSRS for children. However, the control group demonstrated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sub categories except cooperation at SSRS for teachers and children. According to the results after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assertion and cooperation except self control at SSRS for teachers, and show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assertion and sympathy at SSRS for children, but no change in self control and cooperation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it is demonstrated tha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upon the multimodal social skills training will help reducing the maladjusted behaviors caused by low sociality and confidence of disabled children.

저자
  • 임흥수(초당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겸임교수) | Heung-Su Lim
  • 고두갑(목포대학교 경제학과 부교수) | Du-Gab G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