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동주택 유형에 따른 광환경 시뮬레이션 분석 및 조도를 고려한 식물선정 KCI 등재

Analysis of Photoenvironment Simulation according to Apartment Building Type and Plant Selection, Considering Illumination Leve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56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인간식물환경학회지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인간식물환경학회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단지 내 광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식물 선정 및 무분별한 식재계획을 개선하고자 공동주택의 유형에 따른 광환경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단지 내 조도에 따른 영역을 구분하고 각 환경에 적합한 식물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공동주택의 유형별 광환경 분석 결과 평균조도 최저값은 일자형에서 4,708lux, 최고값은 Y자형에서 5,054lux였다. 또한, 1,000lux 이하의 영역이 가장 적은 유형은 Y자형 3.82%, 가장 많은 유형은 일자형 9.55%이다. 1,000~6,000lux 사이의 영역은 일자형과 탑상형에서 62.15%로 낮게 나타났으며, Y자형이 75.87%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6,000lux 이상의 영역은 혼합형 유형이 5.56%으로 가장 적었으며, 탑상형이 22.74%로 양지영역을 가장 넓게 확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광환경 분석으로 분류한 음지, 양지, 복합영역에 따른 조도별 식물 선정 결과, 음지식물은 금꿩의다리, 리시마키아, 맥문동 등 7종, 양생식물은 꽃잔디, 꿀풀, 벌개미취 등 13종, 중생식물은 기린초, 꼬리풀, 돌나물 등 27종이다.
3) 음지 식물의 경우 건물과 인접하거나 건물과 건물의 사이에 식재하는 것이 적합하며, 중생 식물은 단지의 외곽 등 건물의 그림자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게 미치는 영역에 식재하고, 이 외의 대부분의 공간에 복합식물은 식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어 가장 넓은 영역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형태를 네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광환경을 분석하였다. 평균적으로 가장 양호한 조도를 나타내는 유형은 Y자형이었으며, 다음으로는 탑상형, 혼합형, 일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연구의 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하여 설계한 공동주택 유형별 단지 내에 건물 외의 기타 시설물 및 교목, 관목 등 조경수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음지영역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지 내 대부분 영역의 광환경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현실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공동주택 단지 조성 시 식재계획과정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한 모의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실제 적용한 식재지의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또한 습윤지, 건조지 및 비옥도 등 토양환경에 따라 식물의 선정기준이 다를 수 있으므로 식물선정 및 검증과정과 관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in order for the plants to adapt to an adequate growing environment by dividing areas according to illumination level and through selecting suitable plants. Based on the result of photoenvironment simulation, the type that showed the most satisfactory illumination level was type Y, and it is followed by the tower type, mixed type and straight type, in that order. The result of plant selection according to illumination level based on light, shade and mixed environment analyzed by photoenvironment shows that as for shade plants, there are 7 species such as, Thalictrum rochebrunianum var. grandisepalum (H.Lév.) Nakai, Lysimachia nummularia‘Aurea’ and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For sun plants, there are 13 species such as Phlox subulata L.,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and Mazus miquelii Makino. For mixed environment plants, there are 27 species such as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and Veronica linariifolia Pall. ex Link. Mixed plants are analyzed to be apt for planting in most spaces of apartment building complexes, therefore, they are analyzed to be suitable, in fact, for the widest spectral area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저자
  • 박은희(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 | Eun Hee Park
  • 정명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 | Myung Il Jeong
  • 한승원(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 | Seung Won Han
  • 정나라(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 | Na Ra Jung
  • 김재순(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도시농업연구팀) | Jae Soo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