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야기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의 경험 KCI 등재후보

Story generation experience of children and teacher participating in the story generation a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63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야기 나누기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이야기 만들기 활동에 참여한 유아와 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만 3,4,5세로 구성된 혼합연령학급을 대상으로 이야기 나누기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7주 동안 실시하며 참여관찰을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기존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거나 재구성하여 창의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냄과 동시에 본능적인 이면의 모습도 이야기에 표현하고 있었다. 또한 유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가 이야기에 많이 개입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야기의 제목을 정하는 활동에서는 이야기의 배경, 중심사건, 감정표현 등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제목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보였다. 교사는 이야기 나누기 활동에서 일어나는 주변의 모든 이야기를 흡수하여 유아들의 이야기 만들기에 조력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유아들의 다양한 의견은 토론과 협의로 중재하였다. 이야기의 감상 후에는 수정과정을 거쳤으나 초기에 이야기가 전면 수정되는 모습을 보며 이야기를 평가하고 내용을 새롭게 생각해보는 활동으로 수정하여 전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 만들기 활동을 통하여 교사는 유아의 생각과 관점을 초월하여 바라보는 기회와 유아의 눈높이에 맞추며 동행하는 만남을 가지고 민주적 분위기 조성과 지속적인 활동으로 유아의 이야기 창조 욕구가 발달할 수 있는 분위기를 이룰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rience of children and teacher, who participate in the story generation activity. For achieving this purpose, the story generation activity was applied to the mixed age class consisting of children aged 3, 4 and 5 for 7 week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children generated creative stories, which were based on existing experience, or reorganized, and expressed their instinctive hidden sides in the stories. Also, media, which highly influence children, intervened in the stories a lot. In the activity to decide on the titles of the stories, children generated various types of titles focusing on the backgrounds of the stories, central events and emotional expressions. Teacher assisted children's story generation by absorbing all the surrounding stories, which happened during the story generation activity, and mediated in diverse opinions of children through discussion and consultation. After story association, there was a modification process, but the whole story was modified at the initial stage, so it was changed into the activity to assess the stories and come up with new stories.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is study implies that children and teacher in the story generation activity need to go together by transcending opinions and views of each other and being brought down to children's level, and teacher should provide a democratic atmosphere and promote children's desire for story generation and development through a constant activity.

저자
  • 소대웅(공주 근화유치원 교사) | Soh, Dae-Woo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