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감태(Ecklonia cava)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활성 KCI 등재

Antioxidant and Cellular Protective Activities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egen Spec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766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갈조류인 감태의 추출물과 그 분획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감태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 분획을 사용하였다.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50)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FSC50 = 6.98 µg/mL)과 아글리콘 분획(7.03 µg/mL)은 비교물질인 (+)-α-tocopherol(8.98 µg/mL)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냈다.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하여 Fe3+-EDTA/H2O2계에서 활성산소 소거 활성(총 항산화능, OSC50) 결과, 모든 추출물과 분획들 중에서 아글리콘 분획(OSC50 = 14.48 µg/mL)이 가장 큰 항산화능을 나타내었으나, 강력한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6.88 µg/mL)보다는 낮았다. 1O2로 유도된 사람 적혈구 세포 손상에 있어서 50% 에탄올 추출물은 5 ∼ 50 µg/mL에서 농도 의존적인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냈다. 10 µg/mL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τ50)는 각각 442.0 min 및 539.9 min으로 세포보호 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3종류의 감태 추출물 및 분획은 10 µg/mL에서, 비교물질인 지용성 항산화제 (+)-α-tocopherol (40.6 min)보다 훨씬 더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감태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이 항노화 관련 화장품 분야에서 항산화제로서 이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brown seaweed Ecklonia cava extract and its subfractions.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50%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of E. cava. The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ctivities (FSC50) of ethyl acetate fraction (FSC50 = 6.98 µg/mL) and aglycone fraction (7.03 µg/mL) are similar to that of (+)-α-tocopherol (8.98 µg/mL) which is a reference contro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total antioxidant capacity, OSC50) of the aglycone fraction (OSC50 = 14.48 µg/mL) on ROS generated in Fe3+-EDTA/H2O2 system using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assay was the strongest among all extract and fractions. However, all samples showed low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at of L-ascorbic acid (6.88 µg/mL) known as a powerful antioxidant. The protective effect of 50% ethanol extract on the 1O2-induced cellular damage of human erythrocytes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from 5 to 50 µg/mL. Both ethyl acetate fraction and aglycone fraction showed strong cellular protective activities at 10 µg/mL, where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τ50) of each fraction were recorded 442.0 min and 539.9 min, respectively. Three kinds of extract/fractions of E. cava showed much greater cellular protective activities at 10 µg/mL than that of liposoluble antioxidant (+)-α-tocopherol (40.6 min) which is a referenc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E. cava extracts and its fractions can be applied as an antioxidant ingredient in a field of cosmetics.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실험
  2.1. 기기 및 시약
  2.2. 감태의 분획 및 추출
  2.3. 감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
  2.4. Photohemolysis법을 이용한 세포보호 효과 측정
  2.5. 통계처리
 3. 결과 및 고찰
  3.1. 감태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
  3.2. 감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4. 결 론
 Acknowledgement
 Reference
저자
  • 유차영(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Cha Young Yoo
  • 김시윤(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i Yun Kim
  • 박정원(반포고등학교) | Jung Won Park
  • 성수안(반포고등학교) | Soo An Sung
  • 김다애(반포고등학교) | Da Ae Kim
  • 박지현(반포고등학교) | Jee Hyun Park
  • 현송화(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정밀화학과 화장품종합기술연구소) | Song Hua Xuan
  • 박수남(반포고등학교) | Soo Nam Park 주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