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소아 Hand AP영상에서 골연령 예측을 위한 TW3법의 응용 KCI 등재

The Application of TW3 method for Prediction about Bone Age in Hand AP Image of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0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는 TW3법에서 골성숙 가중치가 가장 높은 7부위를 선정하여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 여 연령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4년 3월에서 2015년 3월까지 성장판검사를 시행한 소아 72 명(남 36명, 여 3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의 길이를 측정하여 회 귀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각 연령마다 특정범위에 상응하는 평균과 표준편차 값이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할수 록 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 길이가 감소하였다. 또한 여아가 남아에 비해 평균값이 작게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결 과에서 성장판과 골 말단부 부위 측정 길이와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p<0.001)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아 손 전후영상에서 TW3법의 응용을 통한 회귀방정식으로 골연령의 예측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is to recognize the interactions with bone ages by measuring the length between the end of the bone and the growth plate on selected highest weight of regions of seven for bone maturity in TW3 method. The experiment is subjected on seventy-two children (36 males, 36 females) who have examined the growth plate test from March, 2014 to March, 2015 and implemented a regression analysis by measuring the length between the end of the bone and the growth plate in Hand AP image of the children. In result, each bone age has produced a mean value and a standard devi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range and as bone age increases the length between the end of the bone and the growth plate decreased. In addition, female children showed lower mean value in comparison to male and also the measurement of the length between the end of the bone and the growth plate and its bone age are shown to be statistically valid(p<0.00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using its result value. Therefore, the probability of prediction on the bone age read off through the applied TW3 method and regression equation in the Hand AP image of the childre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회귀분석
 Ⅲ. RESULT
  1. 평성장판과 골 말단부 사이 길이 측정 결과
  2. 회귀분석 결과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저자
  • 이진수(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영상의학과) | Jinsoo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