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깨관절의 접시오목을 나타내는 Grashey법에 대한 연구 KCI 등재

The Study of Grashey Method Viewing the Glenohumeral(shoulder) Joi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0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Glenohumeral joint`s 를 나타내는 단순방사선 촬영법으로 전후사방향 자세에서 촬영하는 Grashey법이 있다. 이 촬 영법 자세는 선 자세에서 검사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한다. 하지만 촬영 시 환자를 몸통을 들어 올리고 회전하는 정도 에 따라 관찰범위가 변화한다. Glenohumeral joint`s 를 가장 잘 나타내기 위한 몸통 회전 각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20명(남:13명, 여:7명)을 대상으로 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영상의 판단을 위하여 정형외과 전문의 2명, 방사선 사 2명(경력 15년 이상자)이 관찰 평가하였다. 평가의 척도는 Glenohumeral joint`s 분리 정도의 점수를 0점은 ‘분리 안 됨’, 1점은 ‘불량’, 2점은 ‘보통’, 3점은 ‘양호’로 점수를 부여하였다. 몸통 회전 각도를 30° 인 영상은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겹쳐서 나타났고, 35°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가 약간 겹쳐서 나타났 고, 40° 인 영상에서는 Humerus head와 Glenoid fossa의 관절강이 가장 겹침이 적게 나타났고, 45° 인 영상에서도 겹침 정도가 많았다. 각 영상의 평가 점수는 30°는 0.40±0.499, 35°는 1.34±0.657, 40°는1.84±0.573, 45°는 0.76±0.649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5).선 자세에서 Glenohumeral joint`s 를 나타내기 위한 자세에서 환자 몸통을 40° 검사 반대 측을 들어 올리고 촬영하였을 경우 우리는 가장 양호한 접시오목 (Glenoid fossa)를 나타낼 수 있었다.

Consideration of Glenohumeral joint`s image with the Changed Body angle of the Glenohumeral joint`s Oblique Position in Erect Position. Glenohumeral joint`s of Grashey method is a shoulder oblique method available to view the shoulder joint. Grashey method projects AP view of the Glenohumeral joint`s so that the Humerus head`s subluxation or joint degeneration can be easily visualized. However in this view, the patients, erect position, have to keep their body obliquely. Oblique position is will be needed to get the good quality Glenohumeral joint`s view. Therefore, we thought of examining a method which shows the Glenohumeral joint`s well by angling the patient one side upward in erect position. For this study, total 20 subject with no history of neurological or psychiatric illness, were recruited for examinations. They consisted of 13 mails and 7 femails, Statistic group analysis was performed with ANOVA test. Score of the evaluation of the expects were 30°at 0.40±0.499, 35° at 1.34±0.657, 40°at 1.84±0.573, 45°at 0.76±0.649, and they were significant(P<0.05). The degree of 40° views were shown to yield good quality shoulder oblique imag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Experimental Equipment And Method
 1. 연구대상
 2. 검사방법
 3. 촬영기기 및 조건
 3. 영상촬영법
 4. 분석방법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저자
  • 이재섭(광양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Jaeseob Lee
  • 김영재(대구보건대학교 방사선과) | Youngjae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