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에듀테인먼트 디자인의 연구 동향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Edutainment desig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1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에듀테인먼트는 미래교육과 소프트웨어 분야 외에도 많은 분야에서 언급,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에듀테 인먼트에 대한 개념이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어 미래 교육환경 조성 및 에듀테인 먼트 디자인 산업환경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국내 학술논문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관련 40편의 국내 학술논문들을 대상으로 7가지 분석 준거를 통해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분석준거 범주는 발행년도, 학술지, 연구목적, 연구대상, 디자인분류체 계, 주제어 분석,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구현유형 등 일곱가지 분석 준거에 따라 연구 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부터 에듀테인먼트에 대한 연구가 증가추세였다. 둘째, 다양한 학술지에서 다양 한 분야의 에듀테인먼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넷째, 연구목적상 개념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주제어와 출현빈도수를 살펴보았을 때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용 게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시·공간에 대한 구분이 희미해지고 가상현실과 체험현실을 이용한 시설기반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에듀테인먼트 기반 디자인 구현 유형 분석을 준거로 한 게임분야에 연 구가 몰려있었다. 전반적으로 에듀테인먼트 다자인은 더더욱 많은 발전이 요구되는 영역이다. 결론 및 향후 과제에서 에듀테인먼트에 관련된 많은 교육학적 이론과 연구 결과들이 관련 시설 및 설치물의 디자인이라 는 실제와 보다 더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한 융합적인 연구가 더 많이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design based edutainment through recent researches. This study analyzed 40 theses and articles based on the following seven criteria: year, publication, research objectives, target audiences, type of design, key words and the type of design for edutainment. The main outcomes are as follows: 1) from 2010, the number of research studies have increased, 2) there are divergent academic associations which have published edutaiment-related design issues, 3) in general, the target audiences are divergent, however there was a little bit more attention paid to elementary students compared to others, 4) there should have been more articles on the concept of edutainment, 5) there were many articles on game-oriented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 systems, 6) it is the facilities for virtual reality and virtual experiential activity which gain more attention recently, 7) most of the researches focused on the game while analyzing the type of design for edutainment. There should be more convergent researches which may strengthen the potential of edutainment-related educational theories and facility-implemented practical design experien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dutainment systems.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에듀테인먼트의 이론적 고찰
  2.1. 에듀테인먼트 개념의 변화
  2.2. 에듀테인먼트의 유형
 3. 국내 에듀테인먼트디자인 분석설계
  3.1. 분석대상 및 범위
  3.2. 에듀테인먼트 디자인 연구동향 분석을 위한 기준
  3.3. 분석도구
 4. 국내 에듀테인먼트의 디자인동향 분석 결과
  4.1. 발행연도
  4.2. 학술지
  4.3. 연구대상
  4.4. 연구목적
  4.5. 주제어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안혜정(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외래교수) | Ahn Hye Jung
  • 김영환(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Kim Young Hw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