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디지털 매체에서 재매개 된 공간의 확장성에 관한 연구- M.C.에셔의 무한공간의 디지털 공간으로 확장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Expandability of Space Remediated in Digital Media - Focusing on remediation of print images created by M.C. Esch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810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의 배경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의 ‘뉴미디어’가 가속되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른 미디어와 융합을 통해 예술적 표현방식을 확장시키면서, 예술의 장르에서 융합은 콘텐츠의 다양화 뿐 아니라 공간 개념에 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근대적인 사고에서 구조화되고 물리적인 공 간으로 인식되었던 공간의 개념이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공간은 시간과 거리에 관계없이 접근이 용 이하고, 가변적이며 비실재적인 공간으로 무한한 확장성을 갖되 된다. 이에 미디어 장르별 공간의 표현 양식을 분석하여 공간의 확장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 및 범위는 네델란드의 판 화가 M.C.에셔의 작품 중 펜로즈(Penrose) 삼각형을 모티브로 제작한 무한의 공간이 디지털 미디어로 재매개 되면서 어떻게 변화하고 확장되는지를 영화, 애니메이션, 게임에 재현된 공간 구성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M.C.에셔의 재매개 된 공간은 영화와 애니메이션에서는 미장센적인 요소와 몽 타주로 공간에 대한 확장성을 갖게 되었고, 게임에서 재매개 된 공간은 움직임이 불가능한 공간을 시 각적 착시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한 비매개(immediacy)적 요소와 게임 인터페이스의 하이퍼매개 (hypermediacy) 작용으로 공간이 확장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 새롭게 등장하는 뉴미디어 의 디지털 공간에 대한 사용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공간의 확장성을 기반으로 인지심리학적 연구가 진 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relates to convergence in art genres that has brought changes to spatial concept, as well as diversification of contents, as new media expands modes of artistic expression through convergence with other media to cope with accelerating changes in rapidly changing digital era. As a result of such changes, the concept of space which was structuralized and perceived as physical space in modern thinking framework has come to have unlimited expandability into variable and unrealistic space which is easily accessible, regardless of time and distance, in digital media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xpandability of space by analyzing the modes of spatial expression for each media genre. Regarding the methodology and scope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patterns of change and expansion of infinite space -- which adopted motif from Penrose triangle which is one of the works of Dutch print artist M.C. Escher -- remediated by digital media based on space configuration reproduced in movie, animation, and gam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mediated space created by artist M.C. Escher had expandability for space based on mise-en-scene elements and montage in movies and animations and that the space remediated in games was expanded through hypermediacy action between game interface and immediacy elements enabling movement of immobile space through optical il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basis for cognitive psychological research based on active participation of users and spatial expandability for digital space of new media that will emerge in the period ahead.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재매개
  2.2. 공간의 개념과 디지털 공간의확장성
  2.3. M.C.에셔의 다시점 공간 순환의
 3. 디지털 공간으로 재매개 된 M.C.에셔의 다시점 공간
  3.1. 영상 · 애니메이션에 재매개 된공간의 확장성
  3.2. 게임에 재매개 된 공간의 상호작용성과 확장성
 4. 결론
 참고문헌
저자
  • 박진옥(나사렛대학교 캐릭터디자인학과 교수) | Park Jin 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