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 고창군 하전 갯벌의 미세조류 및 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KCI 등재

Spatio-temporal microalg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s of the Hajeonri tidal flat, Gochang,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0926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환생지))
한국환경생태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부터 11월까지 전북 고창의 하전 해수와 갯벌 표면의 식물플랑크톤과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의 시공간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수에서는 2월부터 10월까지 매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종조성과 개체수 및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는데, 식물플랑크톤 엽록소 a 농도와 개체수는 2월에 가장 높았고 규조가 우점군이었으며 총 113종이 출현하였다. 저서규조 및 그 서식환경인 표층퇴적물에 관한 연구는 하전리 측선에서 간조 시에 계절별(2, 5, 8, 11월)로 각 9개의 정점에서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주로 사질실트와 사질니로 이루어졌으며, 유기물 오염도는 낮게 나타났다. 저서미세조류 생물량(엽록소 a)은 봄과 여름에 높게 나타났다. 저서규조는 총 163종이 출현했으며 Navicula sp.1과 Paralia sulcata 두 종이 우점하였다. 해수와 저서 표층에서 동일시기에 출현한 종은 5종으로 관찰되었다.

We studied the spatio-temporal microalgal (phytoplankton and benthic diatom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Hajeonri intertidal zone from February to November 2014. Seawater and phytoplankton analysis were conducted all through the months. The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easured. As a result, diatom was dominant among a total of 113 species identified. On a seasonal basis (Feb. May, Aug., Nov.), we carried out studies on benthic diatoms on the surface of the sediments and their habitats at nine stations on the transect line at Hajeonri at low tide. The grain of the surface sediments was mainly composed of sandy silt and sandy mud. Organic pollution level was low. Benthic microalgal biomass (chlorophyll a) was high in the spring and summer. A total of 163 benthic diatom species were identified. Navicula sp.1 and Paralia sulcata were dominant over the study period. Five diatom species were observed both in water column and on surface sediment at the same time.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정상옥(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Sang Ok Chung Corresponding Author
  • 조윤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Yoon-Sik Cho
  • 최윤석(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Yoon Seok Choi
  • 정희도(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Hee-Do Jeung
  • 송재희(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Hee-Do Jeung
  • 한형균(국립수산과학원 갯벌연구소) | Hyoung Kyun 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