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유학사에서 俛宇 郭鍾錫의 위상 KCI 등재

Myeonwoo Kwak Jong Seok's Posi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한국유학사에서 면우 곽종석의 위상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5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한국유학사에서 면우 곽종석이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학문과 사상, 그리고 현실 대응 등 그의 삶과 학문 전반에 대해 폭넓게 살폈다. 곽종석은 조선 말기로부터 일제강점기에 간재 전우와 함께 조선유학의 쌍벽으 로 추앙을 받았다. 그는 학통과 당색에서 완전히 초탈하지는 못했지만 일생을 융합주의 신념 아래 살았다. 그는 평생에 걸쳐 퇴계학과 남명학을 아우르고 영 남학파와 기호학파를 넘나드는 등 보폭 넓은 활동을 하였으며, 유림을 세력화 하고 대동단결하는 데 힘썼다. 그의 학문 특성은 ‘집약’과 ‘會通’에 있다.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종합한 뒤 자기의 관점에서 다시 체계화하였으며, 연구방법론 에서도 여타의 학자들과는 확연히 비교가 되었다. 곽종석은 전통과 근대 사이에서 가교적 구실을 하였다. 그의 개명적이고 시대 를 앞서가는 안목과 시대인식은 후학들에게 좋은 밑거름이 되었다. 문하에서 배출된 수많은 문인 제자들은 철학․종교․교육․역사학 및 독립운동 여러 방면에서 큰 구실을 하였다. 유학사상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바탕으로, 전통의 근대적 계 승을 위해 신학(서구사조)에 대해서도 폭넓은 이해를 가졌던 곽종석의 학문관, 학문 방법은 후학들에게 계승되었고, 전통 학문의 근대적 계승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도록 방향성을 제공하였다.

This article is from a study on Myeonwoo Kwak Jong Seok's posi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Confucianism. I have widely investigated his entire life and learning including studies, ideas, actions taken for the real things and etc. He had been highly esteemed as one of the two great ones of Joseon Confucianism together with Ganjae Jeon Woo through the Japanese occupation times si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Although he did not completely come over the matters of scholars' and politicians' sectors, he had lived his life under the belief in Unite-ism. During his entire life, he was involved in the wide range of activities including studies of both Toigye-learning and Nammyeong-learning, crossing the boundary between Yeongnam scholars' sector and Giho scholars' sector and etc, and made efforts to expand Confucian scholars' power and unite them. The characteristics of his learning are found in 'intension' and 'harmonization'. He generalized various scholars' doctrines to systemize them into his own viewpoint, and his study methodology was also clear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other scholars. He played a role of bridge between the tradition and modernity. His view and recognition of the age that were enlightening and leading his time became good base manure for his followers. A number of his literary disciples played big role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hilosophy, religion, education, history learning, independence protest and etc. His viewpoints of and methods for learning that showed a wide range of understanding also on theology (western trend) based on firm belief in Confucianism were transferred to his followers, who were provided with his direction so that they could seek the ways to take traditional learning in modern style.

목차
Ⅰ. 머리말
Ⅱ. 전통과 미래의 架橋者로서의 삶
Ⅲ. 융합주의 儒學의 선구
Ⅳ. 퇴계학파 성리설의 集約
Ⅴ. 현실대응과 儒林團事件
Ⅵ. 전통의 근대적 계승
Ⅶ. 맺음말
저자
  • 崔英成(국립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관리학과 교수(한국철학), 남명학연구소 특별연구원) | 최영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