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민참여형 국유림경영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조사 KCI 등재

Awareness survey on participatory national forest management revitaliz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88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는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분석을 위하여 산림참여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또 한 선행 연구에서 자료가 미비한 일반국민의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참여 산림경영의 문제점으로 개인, 기업, 그리고 시민단체는 대부분 정부의 다양한 정보제 공과 권유의 부족, 제도의 불안정을 지적하였으며, 정부는 일반국민들의 무관심과 복잡한 법률체계 등 을 지적하였다. 또한 설문조사는 일반국민 총 150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 2주간 2차례 실시하였고, 설문 문항은 국유림 참여경영에 대한 인식, 참여 의향, 참여 형태, 참여단계, 일반국민·기업·시민단체 의 국유림 경영사업 참여시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 총 16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러 이해당 사자의 국유림 경영 참여시 문제점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무관심(29.5%)’이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기업의 경우는‘자사 이기주의(31.5%)’, 시민단체의 경우는‘전문성 결여(32.9%)’가 높은 응답 률을 나타냈으며, 여러 이해당사자의 효율적인 국유림 경영 참여 방안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의 경우‘대 국민 국유림 경영 관련 정보 제공(30.0%)’이, 기업의 경우‘협력시스템 구축(26.0%)’이, 시민단체의 경 우‘시민단체의 전문자문/세미나 활성화(32.9%)’가 높은 응답률을 나타냈다.

In this study, awareness analysis on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onduct of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forest particip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an awareness survey. Awareness on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as determined through the conduct of two surveys of a total of 150 respondents consisting of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in April 2015. The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16 questions, included questions on: respondent’s awareness about national forest participatory management; willingness to participate; participation forms; participation stages; and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involvement of the general public, businesses and civic organization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problems i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are: ‘apathy’ (29.5%) for the general public, ‘selfishness’ (31.5%) for businesses, and ‘lack of expertise’ (32.9%) for the civic organizations. In terms of the measures for the effective involvement of stakeholders in national forest management, both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 groups identified the following: ‘provision of national forest management-related information nationwide’ (30.0%) for the general public;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system’ (26.0%) for businesses; and ‘civil society specialist advisory/seminar activation’ (32.9%) for civic organizations. The result trends for the problems and measures are similar for both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 groups.

저자
  • 이관희(경북대학교 임학과) | Kwan Hee Lee
  • 이남정(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산림환경자원전공) | Nam Jung Lee
  • 유리화(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Rhee Hwa Yoo
  • 김동근(경북대학교 생태환경시스템학부) | Dong Geun Kim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