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노인요양시설에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act of Occupational Identity on the Quality of Service of Long-Term Care Workers in Nursing Homes - The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1423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5.22.3.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과 서비스 질 간의 인과관계와 두 변인 사이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직업적 정체성, 직무만족의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지역 230명의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조사결 과를 바탕으로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 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으며, 서비스 질과도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은 직업적 정체 성과 서비스 질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 성과 직무만족 강화를 통해 서비스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 조직문화의 개선으로 조직의 개방성 과 유연성, 신뢰성의 문화가 보다 확산되어야 하며 직원 행복 프로그램 실시 및 전문성 향상과 역량강화 를 위한 직무교육 강화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measures to improve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occupational identity,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research about mediator effect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ong-term care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and quality of service and turnover intenti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230 long-term care workers in Gyeongbuk Province and the relationship among occupational identity,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was examin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it turned out that occupational ident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service. In addition, it was statistically found that long-term care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has a direct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service and job satisfaction has the mediating effect on occupational identity and quality of service. Based on this, as improvement plans to increase the quality of service through the strengthening long-term care workers’ occupat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culture of openness, flex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more spread by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posal for job training were strengthened to staff happy program and improve professionalism and strengthen competenc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의 동향
2. 요양보호사의 직업적 정체성
3.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
4. 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 및 서비스
질과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
4. 자료처리방법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2. 연구변인의 특성 및 변인간의 상관관계
3. 완전·부분 모형의 비교
4.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창호(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 Chang-Ho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