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신체적 증상 및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정서의 매개역할 - KCI 등재

The Effect of Challenge and Hindrance Factor from Job Stress on the Physical Symptoms and Employee Engagement -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4630
  • DOIhttps://doi.org/10.14396/jhrmr.2016.23.1.23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인적자원관리연구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과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긍정정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78개의 설문지를 분석 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긍정적 요인인 도전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직무인게이지먼트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조직인게이지먼트에는 유의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부정적 요인인 방해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 두통, 소화기 증상 및 상기도 감염 모두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방해요인은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긍정정서는 도전요인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도전요인이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관련 연구 분야에서 처음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요인을 이론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 구의 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방해요인은 줄이고, 도전요인은 장려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을 줄이고, 직무 및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llenge and hindrance factor from job stress on physical symptoms and employee engagement of each member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verifies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s during this process. For the study, 37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rkers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allenge factor which is a factor of job stress and considered positively reduces sleep disturbance among physical symptoms significantly. Challenge factor also improved job engagement significantly, but it didn’t affect organizational engagement. Whereas, hindrance factor which is considered negatively increased sleep disturbance, headache, gastrointestinal problem,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of physical symptoms. And i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lso, positive affects played its mediating role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its effects on sleep disturbanc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research to develop positive factors of job stress theoretically by separating job stress factors to challenge factors and hindrance. This study is also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at the relevant institutions have to be supplemented to reduce hindrance and help worker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s by distinguishing challenge factors from hindrance and reducing physical symptom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1.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과 신체적 증상
2.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과 종업원
인게이지먼트
3.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신체적
증상과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정서의 매개역할
4. 연구 모형
Ⅲ. 연구 설계 및 조사방법
1. 연구 표본 및 조사 절차
2. 측정도구
3. 조사 자료의 분석 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1. 표본의 특성
2.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4. 구조방정식모형의 평가 및 가설 검증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동환(고도일병원 만성피로클리닉원장,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Lee, Dong Hwan
  • 장영철(경희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 Chang, Young Chul 교신저자